사실상 타결된 것으로 보였던 광주형 일자리가 다시 무산될 위기에 처했다. 산업계에선 예견된 수순이라는 반응이 나온다.
6일 광주시와 현대차 등에 따르면 잠정 합의안에 있던 ‘단체협약 유예 조항’을 삭제한 수정안에 대해 현대차가 수용 불가 방침을 밝혔다.
해당 조항은 차량을 35만 대 만들 때까지 임금과 단체협상을 유예한다는 조항으로 노동계가 반발했다. 그러자 광주 노·사·민·정 협의회가 이 조항을 아예 삭제하거나 일부를 수정한 3가지 안에 다시 내놨다.
현대차는 단호했다. 광주시가 노사민정 협의회를 거쳐 제안한 내용은 투자 타당성 측면에서 받아들이기 어려운 안이라며 거부 의사를 밝혔다.
현대차 측은 “광주시가 ‘협상의 전권을 위임받았다’며 현대차에 약속한 안을 노사민정 협의회를 통해 변경시키는 등 혼선을 초래하고 있는 점에 대해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며 “의결사항 수정안 3안이 ‘현대차 당초 제안’이라고 주장한 것은 사실을 왜곡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지난 6월 투자 검토 의향의 전제조건으로 광주시가 스스로 제기한 노사민정 대타협 공동결의의 주요내용들이 수정된 바 있고, 이번에도 전권을 위임 받은 광주시와의 협의 내용이 또다시 수정·후퇴하는 등 수없이 입장을 번복한 절차상의 과정에 대해서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며 실망감을 나타냈다.
업계에서는 이 같은 결과를 어느 정도 예상했다는 반응이 주를 이룬다. 애초 계획했던 안이 수정된 탓에 사업의 경제성이 떨어졌다는 것이다.
자동차업계 한 관계자는 “처음 합의했던 안도 사실상 기업에는 유리하지 않은데 노동계 반발로 광주시가 애초 제시했던 안을 계속 수정하며 사업이 누더기가 됐다”며 “손해가 불 보듯 뻔한 사업을 할 기업은 없을 것”이라고 했다.
자동차 부품업체 한 임원은 “기업 입장에서는 인건비를 줄일 수 있는 동남아 등에 공장을 지으면 그만”이라며 “현대차가 대승적 차원에서 광주형 일자리 사업을 추진했는데 지금으론 수용할 이유가 전혀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수정안 내용이 불명확해 노사관계가 불안해질 수 있는 여지가 크다”며 “현대차로선 최종 합의안을 받아들이기 힘들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현대차는 협상은 계속 이어가겠다는 입장이다. 광주시 측도 시간을 가지고 다시 광주형 일자리 성공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양측의 이견이 첨예해 협상이 장기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