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등으로 피해가 예상되는 농어업 종사자 및 중소기업을 위해 발효 후 10년간 1조7000억 원가량을 지원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한중, 한-베트남, 한-뉴질랜드 FTA 비준 동의안을 국회에 제출하면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국내 산업 경쟁력 강화 대책’을 마련했다고 5일 밝혔다.
정부는 한중 FTA로 피해를 볼 수 있는 밭작물 농가를 지원하기 위해 농기계 임대 등을 추진한다. 생산 준비부터 수확까지 모든 과정을 기계로 작업할 수 있는 체제를 구축해 현재 56%에 불과한 밭작물 기계화율을 2025년에 85%까지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또 어업인들의 부담을 덜어 주기 위해 현재 연 3%인 정책자금 금리를 연 2%로 낮추고 △노후 어선 개량 △친환경 양식 생산비 일부 보전 등도 추진한다. 중국 불법 어선의 조업 단속을 강화하기 위해 낡은 국가 어업지도선을 정비한다.
저가의 수입 제품에 밀려 경영난을 겪게 될 중소기업 지원 대책도 마련했다. FTA 피해 기업의 경영 안정과 사업 전환에 3100억 원을 지원하고, 경공업 등 제조업 중 취약한 분야의 경쟁력을 강화를 위해 특별 지원 융자 프로그램을 신설한다.
한편 산업부는 한중 FTA 발효 후 10년간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0.96% 추가로 성장하겠지만, 국내 제조업은 중소기업 피해 등으로 발효 후 5년간 연평균 7000억 원, 10년간 연평균 4700억 원 생산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FTA는 단기 수출 증대보다 경쟁력 강화에 따른 장기 효과를 기대하고 추진하는 것”이라며 “향후 20년간 연평균 1조3900억 원의 생산 증가 효과가 따를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