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동아일보
오피니언
정치
경제
국제
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헬스동아
트렌드뉴스
통합검색
언어선택
방문하고자 하는 언어의 홈페이지를 선택하세요.
한국어
English
中文(簡体)
日本語
마이페이지
전체메뉴 펼치기
사람속으로
노벨 경제학상, 빈곤퇴치에 힘쓴 3명 공동수상…역대 두 번째 여성 수상자 탄생
뉴시스
업데이트
2019-10-14 19:44
2019년 10월 14일 19시 44분
입력
2019-10-14 18:52
2019년 10월 14일 18시 52분
코멘트
개
좋아요
개
공유하기
공유하기
SNS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공유하기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트위터로 공유하기
URL 복사
창 닫기
즐겨찾기
읽기모드
뉴스듣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가
가
가
가
가
창 닫기
프린트
2019 노벨경제학상 왼쪽부터 아브히지트 베너지, 에스더 듀플로, 마이클 크리머© 뉴스1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는 14일(현지시간) 노벨 경제학상의 수상자로 빈곤문제 연구에 헌신해온 경제학자 에스테르 뒤플로(47), 아비지트 바네르지(58), 마이클 크레이머(55)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뒤플로와 바네르지는 미국 MIT, 크레이머는 하버드대 교수이다.
노벨 위원회는 “이들은 세계의 빈곤을 해소하기 위해 실험적인 접근을 했다”며 선정 이유를 밝혔다.
특히 뒤플로는 2009년 여성으로서 최초로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엘리너 오스트롬 애리조나주립대 교수 이후 10년만에 탄생된 여성 수상자이자, 노벨 경제학상 50년 역사상 두 번째 여성 수상자다.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최연소 수상자이기도 하다.
노벨 위원회는 3명의 수상자가 여전히 세계 곳곳을 잠식하고 있는 빈곤이라는 위협적인 문제를 미시적인 관점에서 접근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했다고 설명했다.
노벨 위원회는 “최근의 극적인 개선에도 불구하고 인구의 가장 시급한 문제는 여전히 모든 형태의 빈곤”이라며 “매년 5세 미만의 아동 500만명이 저렴한 가격으로 예방, 혹은 치료할 수 있는 병으로 목숨을 잃는다”고 했다.
그러면서 “올해의 수상자는 세계의 빈곤을 퇴치하기 위해 최선의 방법으로, 신뢰할 수 있는 답을 얻기 위한 새로운 접근을 한 이들에게 돌아갔다”고 부연했다.
노벨 위원회는 이들은 빈곤이라는 거시적인 문제를 더 작고 다루기 쉬운, 예를 들어 교육, 영유아의 건강 등의 정책으로 접근함으로써 효과적으로 해결하려 했다고 밝혔다.
이어 이날 수상자들이 만들어낸 더 작고, 더 정확하고, 더 세밀하게 설계된 사회적 실험들은 빈곤의 영향을 받는 이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고 강조했다.
크레이머는 1990년 중반 아프리카 케냐에서 ‘기생충 치료가 어떻게 케냐 학생들의 출석률을 높일 수 있을까’하는 실험은 아동들의 건강이 교육의 질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밝혀냈다.
그의 연구 결과 기생충 구제를 실시한 뒤 케냐 학생들의 결석률은 25%가 줄어들었다.
뒤플로와 바네르지는 공동저서인 ‘가난한 자의 경제학(Poor Economics. 국내 출판제목은 ’가난한 사람이 더 합리적이다‘)’라는 책을 통해 빈곤한 이들의 행동학을 연구하기도 했다.
뒤플로는 수상소식을 들은 후 “우리 셋의 공통점은 상호 연결된 빈곤의 뿌리를 연결하는 데 초점은 맞춘 데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정책을 만드는 이들은 원인을 이해하지 못한 채 빈곤한 이들이 완전히 절망적이거나, 게으르다고 생각한다. 그렇게 가난한 이들을 일반화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비판했다. 또 “우리의 접근법은 문제를 하나씩 풀고 가능한 한 과학적으로 검토하는 것이었다”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오늘의 수상은 전 세계의 빈곤을 연구하는 수백 명의 연구원들을 인정하는 데에 의미가 있다”고 소감을 밝혔다.
【서울=뉴시스】
좋아요
0
개
슬퍼요
0
개
화나요
0
개
댓글
0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등록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한미일 훈련, 국방참사”서 달라진 이재명 “3국 협력 지속 이의 없어”
美 불법체류 한국인 첫 체포, 한인사회 술렁
[정용관 칼럼]이재명은 무엇을 걸 것인가
좋아요
0
개
슬퍼요
0
개
화나요
0
개
0
닫기
댓글
0
뒤로가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