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쟁가’가 된 지자체[현장에서/김도형]

  • 동아일보
  • 입력 2019년 6월 12일 03시 00분


지난달 29일 현대중공업 울산 존치를 주장하며 삭발한 송철호 울산시장(왼쪽).
지난달 29일 현대중공업 울산 존치를 주장하며 삭발한 송철호 울산시장(왼쪽).
김도형 산업1부 기자
김도형 산업1부 기자
요즘 조선업계는 현대중공업 기업 분할에 반대하는 노동조합의 강경 투쟁으로, 철강업계는 고로(용광로) 문제로 시끄럽다. 한국을 대표하는 두 산업에서 벌어진 갈등의 본질은 각각 노사 문제와 환경 문제였다. 그런데 이 갈등을 더 키운 건 지방자치단체였다.

지난달 29일 송철호 울산시장은 삭발을 감행했다. 현대중공업에서 분할한 한국조선해양 본사의 ‘서울행’에 반대해서다. 송 시장은 “한국조선해양 본사를 서울로 옮겨가는 건 시민의 열망을 배반하는 것”이라고 했다.

울산은 고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이 세계 최고의 조선업을 맨손으로 일궈낸 곳이다. 울산시민들과 시장이 박탈감을 느끼는 건 어찌 보면 당연할 수 있다. 울산에서 초중고교를 졸업한 기자 역시 한국조선해양의 서울행에 섭섭함을 느낀다.

그렇지만 시장이 투사로 분해 삭발 투쟁까지 하는 모습은 당혹스러웠다. 시장으로서 지역의 부를 다른 곳에 뺏긴다거나 울산의 일자리가 줄어드는 걸 걱정할 수는 있다. 하지만 시장은 행정가이자 조정자 아닌가. 정치인이나 노조원처럼 삭발 투쟁이나 해서야 되겠나. 게다가 11개의 독을 가진 현대중공업도, 4개의 독을 가진 현대미포조선도 울산에 남아 배를 만들고, 법인세를 내고, 근로자들에게 월급을 준다.

그의 삭발 투쟁 이틀 뒤 노조는 현대중공업 주총장이었던 한마음회관의 벽을 부수고 무대를 박살냈다. 지자체장이 흥분된 지역 분위기를 고조시키는 데 일조한 것 아니냐고 질문한다면 무리일까.

더 당혹스러운 곳은 충남이다. 충남도는 최근 현대제철 당진제철소 고로 1기에 조업정지 10일을 확정했다. 고로 브리더는 고로의 폭발을 막기 위한 안전밸브다. 그런데 이 브리더가 대기오염물질의 배출통로라는 일부 환경단체의 주장을 받아들여 충남도는 연간 400만 t의 쇳물을 생산하는 고로를 멈추라고 했다. 고로는 4, 5일만 가동하지 않아도 쇳물이 굳어 복구에 최장 6개월이 걸릴 수 있다. 정비할 때 폭발을 막으려면 브리더 개방 말고는 다른 대안도 없다. 이 때문에 행정처분에 신중해야 한다는 여론의 질타가 쏟아졌지만 양승조 충남지사는 10일 “처분이 타당하다”고 주장했다.

지역사회 구성원은 주민도 있지만 기업도 있다. 지자체가 기업의 잘못과 부조리를 특별히 눈감아줄 이유도 없지만 환경적으로 큰 문제가 안 된다는 학계의 진단이 나오는 상황에서 성급하게 조업을 중단할 필요도 없다. 더구나 현재 기술로 대안이 없는 가운데 브리더를 문제 삼는 건 앞으로 기업을 하지 말라는 말과 같다는 업계의 목소리는 타당해 보인다. 만일 기업이 문을 닫으면 지역은 타격이 없겠는가.

지역 기업에 대해 막강한 권한을 가진 지자체가 귀 막고 머리띠 두른 채 투사 노릇만 한다면 대립과 갈등의 퇴로는 누가 찾아줄까.

김도형 산업1부 기자 dodo@donga.com
#지자체#투쟁가#현대중공업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