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국 후 기자회견 검토…‘거취·추가 메시지’ 주목
“총대 메야…사퇴시 차기총장으로 프레임 바뀌어”
해외 출장 중인 문무일 검찰총장이 검·경 수사권 조정 법안의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 지정에 강력 반발, 조기 귀국하기로 하면서 어떤 메시지를 내놓을지 주목된다.
정치권의 반발과 검찰 내부 동요에 부닥친 문 총장이 귀국 후 어떤 형태로든 본인의 거취나 법안의 부당성을 알리기 위한 추가 입장표명을 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3일 대검에 따르면 4일 오전 귀국 예정인 문 총장은 기자단의 귀국 이후 기자회견 요청사항을 보고 받고 그 여부를 검토 중이다.
지난달 28일 국제 사법공조를 위해 출국한 문 총장은 당초 에콰도르 일정을 마친 뒤 9일 귀국할 계획이었으나 수사권 조정 법안이 패스트트랙에 올라타면서 ”민주주의 원리에 반한다“며 강도 높은 반대입장을 표명, 조기 귀국이란 초강수를 뒀다.
문 총장이 기자회견을 하게 된다면 거취에 관한 입장을 밝힐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임기가 석달이 채 안 남은 문 총장이 임명권자인 대통령을 향해 직접 불만을 보인 만큼 사실상 사의표명을 염두에 두고 수위 높은 발언을 한 게 아니냐는 풀이가 나오는 상황이다.
검찰 안팎에선 문 총장이 검찰 수사지휘권을 지키지 못한 데 책임지고 직을 내려놓아야 한다는 목소리와 함께 직을 내려봐야 득될 게 없다는 ‘사퇴 무용론’이 대두하고 있다.
특히 하반기 인사를 앞둔 상황에서 간부급이나 일선 검사들이 목소리를 내기보다는 임기가 얼마 남지 않은 총장이 총대를 메고 전체 조직 의견을 취합해서 목소리를 내는 게 낫다는 얘기다.
수사권조정안의 패스트트랙 지정으로 상황이 종료됐다기 보다는 검찰이 계속해서 법안의 문제점에 대한 의견을 내면서 독소조항을 제거하는 방향으로 논의를 끌고 가야한다는 것이다.
재경지검의 한 검사는 ”지금 총장이 사표를 낸들 아무런 의미가 없다“며 ”말 잘 듣는 후임 총장 앉히는 결과밖에 안되기 때문에 임기가 끝날 때까지 자리를 지키면서 할 말은 하는 게 낫지 않겠나“고 말했다.
문 총장이 사임할 경우 그나마 법안의 문제점을 봐달라는 검찰의 목소리가 묻히고 차기 총장이 누구인지로 여론의 관심이 쏠릴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대검의 한 간부는 ”총장 사퇴는 방법이 아니다“며 ”수사권조정안 내용이 아니라 누가 총장이 되는지로 프레임이 바뀐다“고 말했다.
수사권조정안 문제점을 지적하는 추가적 메시지도 나올 것으로 보인다. 검찰 내부에선 문 총장의 입장표명은 당연한 일이고 오히려 패스스트랙 지정 이전에 더 높은 수위로 목소리를 냈어야 한다는 한다는 분위기가 우세하다.
재경지검의 또 다른 검사는 ”수사권 조정과 관련해서 국회가 검찰을 대화 상대로 인정해주지 않고 진행한 것에 대한 의사 표출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며 ”견제와 균형이란 원칙을 말한 것으로 그 강도가 높다고 할 수도 없다“고 말했다.
(서울=뉴스1)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