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人災… 종합관제소, 전동차 지켜보면서도 사고 못막아

  • 동아일보
  • 입력 2014년 5월 3일 03시 00분


[서울 지하철 추돌/불안한 국민들]

승객들 선로로 비상탈출 사고로 멈춰 선 전동차에서 문을 열고 비상 탈출한 승객들이 맞은편 철로를 
걸어가는 모습이 아찔해 보인다(왼쪽 사진). 추돌 충격으로 객차가 부서지며 분리됐다(오른쪽 사진). 사진 출처 인스타그램 
frutiger·원대연 기자 yeon72@donga.com
승객들 선로로 비상탈출 사고로 멈춰 선 전동차에서 문을 열고 비상 탈출한 승객들이 맞은편 철로를 걸어가는 모습이 아찔해 보인다(왼쪽 사진). 추돌 충격으로 객차가 부서지며 분리됐다(오른쪽 사진). 사진 출처 인스타그램 frutiger·원대연 기자 yeon72@donga.com
2일 오후 3시 30분 서울지하철 2호선 상왕십리역에서 발생한 전동차 추돌 사고는 여러 가지 의문이 남는다. 서울메트로의 종합관제소에서는 두 열차가 가까워지는 것을 알고 있었지만, 사고를 미리 막지 못했다. 또 서울메트로 측은 “안내방송을 했다”고 했지만, 승객들은 “상황을 정확하게 알리는 방송이 아니었고 그냥 기다리라는 것이었다”고 말했다.

○ 추돌 위험 왜 몰랐나… 브레이크 밟았는데 사고

사고 당시 상왕십리역에 있던 2258 전동차는 여러 번 문을 열고 닫은 뒤 막 출발하는 순간이었다고 승객들은 전했다. 그때 뒤에 오던 2260 전동차와 추돌한 것이다. 전동차의 운행 안전을 실시간으로 살펴보는 종합관제소는 사고를 왜 막지 못했을까.

정달오 서울메트로 운전팀장은 “열차와 열차 사이는 비상 장치에 의해 200m 거리가 확보된다. 종합관제소는 전반전인 운행만 관리한다. 두 열차가 가까워진 것은 확인했다”고 밝혔지만 정작 사고는 막지 못했다. 서울메트로 사고대책본부의 한 관계자는 “기본적으로 열차가 역에 들어오거나 나오면 역에 설치돼 있는 감지시스템을 통해 해당 역 관제실과 종합관제소에 위치가 파악된다. 하지만 역과 역 사이에는 이 감지시스템이 촘촘히 배치돼 있지 않아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뒤쪽 전동차를 운행하다 사고를 낸 기관사는 조성근 서울메트로 운전처장에게 사고 당시를 이렇게 밝혔다. “상왕십리역으로 진입하면서 커브 구간을 도는 순간 적색 신호등과 앞 열차가 보였다. 최선을 다해서 비상 제동을 했다”는 것이다. 서울메트로 측은 “제동 거리가 모자라 열차가 추돌한 것 같다”고 했다. 전동차는 쇠바퀴여서 시속 60km로 달려도 최소 제동 거리가 154m는 필요하다는 것이다.

○ 대피 방송 논란… 시민들 침착한 대응

이번 사고는 지난달 16일 세월호 참사 때와는 달랐다. 지하철 지하 역사에서 앞뒤 전동차가 부딪치면서 그 안에 타고 있던 승객들은 큰 충격을 받았음에도 침착하게 전동차에서 나왔다. 앞쪽 전동차에 탑승했던 김유미 씨(20)는 당시 상황을 이렇게 전했다. “상왕십리역 전동차 내에 서 있었는데 갑자기 ‘쿵’ 하는 소리가 났다. 그 충격으로 넘어지면서 손을 다쳤다. 하지만 승객들은 전동차 내에서 서로 먼저 나가려고 밀치는 등의 혼란이 빚어지진 않았다. 어디선가 ‘침착해’라는 소리가 들렸고, 사람들이 지하철 칸에 있는 문을 열어 선로를 통해 (밖으로) 걸어 나왔다.”

이번 전동차 추돌 사고에서 가장 먼저 신고한 건 ‘시민’이었다. 광진경찰서는 이날 “최초 119 신고는 사고 전동차에서 내린 여자 승객이었다”고 밝혔다. 지난달 16일 진도 앞바다에서 침몰해 사망자 228명, 실종자 74명(2일 오후 11시 30분 현재)의 사상자를 낸 세월호 침몰 사고 당시에도 최초 신고자는 여객선에 타고 있던 단원고 2학년 최덕하 군이었다.

사고 직후 대피 안내방송을 놓고 논란이 일고 있다. 서울메트로 측은 사고 직후 안내방송을 했고 승무원들이 사고 현장에서 승객들을 대피시켰다고 한다. 그러나 일부 승객은 안내방송이나 직원을 보지 못했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역내방송은 들렸을 수 있지만 정전이 된 사고 전동차에서는 소리를 듣지 못했을 가능성이 있다. 안내방송을 들었던 승객들은 “앞차와의 간격 때문에 잠시 정차 중이라는 방송이 나왔고 대피하라는 얘기는 없었다”고 말했다.

서울메트로가 대응 매뉴얼을 제대로 지켰는지도 확인돼야 할 대목이다. 이날 본보가 입수한 ‘비상대응 운영절차―지하부 본선구간 열차추돌사고’라는 제목의 사고 매뉴얼에 따르면 사고 발생 즉시 전동차 승무원은 종합관제소에 추돌 사고 발생을 신고하고 열차 내에 추돌 사고 발생 및 안내방송을 실시해야 한다. 이어 사고 발생 10분 이내에 승무원과 역사 직원은 승강장에서 부상 승객을 이송하고, 다른 승객들을 대피시켜야 한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이날 서울시청 집무실에 있다가 사고 소식을 보고받고 서울시 행정 1부시장과 서울메트로 사장에게 연락해 신속한 현장 복구를 지시했다. 오후 5시 30분에 상왕십리역에 도착한 뒤 늦은 밤까지 상황실에 머물며 복구 상황을 점검했다.

‘서울시민의 발’인 서울 지하철은 그동안 크고 작은 사고가 끊이지 않았다. 3월 30일 지하철 1호선 청량리역에서 하행선 열차가 모터 이상으로 멈췄고, 이틀 뒤인 4월 1일에는 역시 지하철 1호선 서울역∼구로역 구간에서 전기 공급 중단으로 하행선 열차 10대가 최대 21분 지연 운행되기도 했다. 수백 명의 부상자가 발생한 이번 추돌 사고를 계기로 서울 지하철에 대한 전반적인 재점검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황인찬 hic@donga.com·김성모 기자
#치하철 추돌#상왕십리역#서울메트로#세월호#ats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