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검물’ 등 행정용어 뜻 대학생에 물었더니… 평균 28점

  • 동아일보
  • 입력 2014년 7월 11일 03시 00분


[말이 세상을 바꿉니다]<4>알 권리 막는 공공언어
해석 어려운 ‘행정 외계어’

“군에서 행정병을 해서 이런 용어에 익숙한 줄 알았는데 착각이었어요. 의미가 생소한 용어가 많았습니다.”(노재혁·24·대학생)

“외계어처럼 느껴지는 말이 너무 많아요. 한국어가 맞나 싶을 정도였어요.”(김나은·22·대학생)

동아일보 특별취재팀이 준비한 행정·공공용어 이해도 검사에 응한 20대 대학생들의 반응이다. 이들은 “공공·행정용어가 지나치게 어려워 이해가 거의 불가능한 수준이었다”고 입을 모았다. 취재팀은 최근 20대 남녀 33명을 대상으로 행정·공공용어 이해도 검사를 실시했다. 응시자에게 주어진 단어는 25개로 모두 지난해 지방자치단체의 공문서와 통지문, 보도자료에서 사용된 적이 있는 단어를 선정했다. 실제 사용 상황과 최대한 가깝게 하려고 해당 용어의 한자를 병기하지 않은 대신 그 용어가 쓰인 예시 문장을 함께 제시해 응시자들이 해당 용어의 뜻을 적게끔 했다.

결과는 100점 만점에 평균 점수 28점. 취재팀은 정답을 맞힌 문항을 △해당 용어만 보고 정확히 의미를 알았는지 △예시문을 보고 앞뒤 맥락을 통해 유추했는지 △의미를 전혀 모른 채 어림짐작으로 맞혔는지를 분류했다. 해당 용어만 보고 뜻을 적은 경우는 정답 문항의 절반에 불과한 50.6%였고 33.8%는 예시문의 문맥을 보고, 15.6%는 어림짐작으로 정답을 적은 걸로 나타났다.

특히 어렵게 느끼는 행정·공공용어로는 절반이 넘는 51.5%가 ‘한자어나 일본어에서 유래한 용어’를 꼽았다. ‘건축 농업 등 전문 분야에서 쓰이는 용어’(24.2%)와 ‘축소나 생략이 심한 용어’(9.1%), ‘영어에서 유래한 용어’(6.1%)가 뒤를 이었다. 실제로 정답률이 3%에 불과한 ‘호안(護岸·해안이나 하천가에 침식 방지를 위해 만든 구조물)’ ‘제척(除斥·배제하여 물리침)’ ‘집수정(集水井·물 저장고)’ 같은 용어는 한자어 또는 일본어 유래어였다.

오답 중에는 엉뚱한 뜻을 적거나 아예 원래 의미와 정반대의 뜻을 적은 경우도 많았다. 호안의 뜻을 ‘좋은 방안(好案)’이나 ‘호남지역 해안(湖南海岸)’이라고 적거나 제척을 ‘제거(除去) 및 세척(洗滌)’이라고 적은 것은 애교 수준. 불요불급(不要不急·필요하지도 급하지도 않은)의 뜻을 ‘꼭 필요한’으로 알고 있거나 일할계산(日割計算·요금이나 임금 따위를 하루 단위로 계산)을 ‘한 번에 계산’으로 이해한 경우도 있었다.

대학생 정연빈 씨(25)는 “전입신고를 할 때 한자어 유래 용어의 의미를 몰라 공무원에게 몇 번씩 물으면서 서식을 작성한 경험이 있다”며 “한자어 유래 용어만 쉽게 풀어 써도 이해하기 훨씬 편할 것 같다”고 말했다. 응답자들이 상대적으로 쉽다고 느낀 영어 유래 용어도 정답률이 높지 않기는 마찬가지였다.‘트레일(trail·산길, 오솔길)’, 팸투어(familiarization tour·사전답사)의 정답률은 각각 6.1%와 12.1%에 불과했다.

정부에서도 여러 번 대책이 나왔는데도 행정·공공용어 순화가 더딘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묻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54.6%가 ‘공무원들이 타성에 젖어 순화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서’라고 답했다. 21.2%는 ‘실제로 용어가 순화됐는지 평가하고 보상(또는 제재)하는 체제가 미흡해서’라고 답했다. ‘대체용어가 마땅치 않아서’라는 답변은 6%에 불과해 정부나 공공기관 종사자들의 자세 변화를 촉구하는 의견이 많았다.

우정렬 기자 passion@donga.com


#행정용어#공공언어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