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유입경로로 추정되는 북한과의 공조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향후 방역 대응에도 차질이 예상된다. 북한의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 상황을 파악할 수 없는 탓에 접경지역을 봉쇄하고 예방적 전체 살처분을 실시하는 지금과 같은 방식의 방역체계 유지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번 ASF는 아직까지 최초 유입경로가 밝혀지지 않은 가운데 비무장지대(DMZ) 내 야생멧돼지 폐사체에서 바이러스가 검출되면서 북한으로부터 유입이 유력하게 점쳐진다.
이달 2일 파주의 양돈농가를 마지막으로 엿새째 추가 발생이 없지만 북한 유입설이 맞다면 추가 발생 가능성은 늘 안고 있다고 봐야한다.
북한은 올해 5월 OIE(세계동물보건기구)에 ASF가 발생했음을 보고하면서 최초 발병 사실이 확인됐다. 이후 북한에서도 이동제한, 봉쇄지역 및 보호지역의 예찰, 사체·부산물·폐기물 처리, 살처분, 소독 등 조치에 나섰지만 제대로 방역이 이뤄졌는지는 알 수 없는 상황이다.
국내에서는 지난달 16일 이후 이달 2일까지 13개 농가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이 있었지만 북한의 경우 5월 23일 단 1건의 발생 이외에 추가 발생은 보고되지 않았다. 당국은 북한이 우리나라보다 방역 체계가 열악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보다 광범위한 확산이 있었을 것으로만 추정하고 있다.
올 5월 북한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이 보고된 직후 정부는 북측에 수차례 공조를 요청했다. 가장 급한 건 북한내 ASF 발생상황에 대한 정보다. 남북 접경지역의 북측 지역 발생상황은 경기북부와 강원도 방역에 기초적인 정보가 되기 때문이다. 이를 바탕으로 비무장지대에 대한 공동방역도 실시해야 효과를 볼수 있다. 야생 멧돼지를 비롯해 강물을 통해서도 바이러스가 전파될 가능성이 있어 국내 유입을 막기 위한 북한의 협조가 필요하다.
하지만 북한은 수개월째 ‘묵묵부답’으로 일관하고 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북한에 아프리카돼지열병 방역을 위한 협조 요청을 수차례 전달했지만 아직 답변을 듣지 못한 상태”라고 말했다.
정부는 아프리카돼지열병 추가 발생이 없을 경우 이달 15일 파주, 김포, 연천 등 6개 지역에 발령한 ASF 중점관리지역을 해제한다는 방침이다. 해제 이후 이 지역에서 다른 시도로의 돼지 반출이 가능해진다.
하지만 접경지역과 인접한 고양, 양주, 포천 등 포함한 14개 특별관리구역은 그대로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 정부는 아프리카돼지열병이 종식되더라도 북한의 발생 상황을 파악하지 못한 상태에서 방역 수위를 낮출 수 없다는 입장이다.
아울러 아프리카돼지열병이 집중적으로 발생한 경기북부 지역에 이어 강원도 북부지역까지 방역 수위를 높이는 부분도 검토하고 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파주, 김포, 연천 지역내 돼지의 처분이 진행 중인 상황에서 현재 최고 단계인 ‘심각’을 유지하고 있는 위기경보 격하는 고려하고 있지 않다”며 “추후 발생 상황을 더 지켜본 이후 논의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