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주일 만에 듣는 그의 목소리는 한결 밝아 보였다. 본보(11월 27일자 A29면)를 통해 토종 최장신 센터(202cm)로 살아가는 남모를 슬픔에 대해 눈물로 고백한 신한은행 하은주(28)는 “기사가 나간 뒤 팬들의 적지 않은 응원이 있어 감사했다”고 했다. 하지만 악플도 있었다. 특히 ‘신한은행에선 잘하면서 국가대표에만 가면 못 뛰는 반쪽 선수’라는 비난에는 유독 가슴 아팠다고 했다.
지나치게 감정적인 면도 있었지만 팬들의 지적에는 일면 타당한 부분이 있다. 하은주는 보통 프로농구 선수들과는 분명 다르기 때문이다.
하은주는 다른 선수들과 똑같은 방식으로는 프로 생활을 지속할 수 없다. 신한은행 임달식 감독의 표현을 빌리자면 언제든지 깨질 수 있는 ‘유리몸’을 지니고 있다.
하은주는 상체는 발달했지만 하체가 약한 편이다. 선일중학교 시절엔 무릎 수술 여파로 2년 동안 농구를 쉬기도 했다. 최근에도 한 경기에서 20분가량 뛰면 2∼3일은 재활 훈련에 매달려야 다시 코트에 설 수 있다. 이 때문에 하은주는 대부분 팀 훈련에서 빠진 채 개인 훈련을 한다. 경기 전날 30분가량만 팀 전술을 맞춰보고 경기에 나선다.
시즌 종료 후 몸 상태를 다시 끌어올리는 데도 긴 시간이 필요하다. 임 감독은 “다른 선수들이 한 달 정도면 컨디션을 끌어올리는 데 비해 은주는 2∼3배의 시간이 더 걸린다”고 설명했다. 여자농구 선수들은 3월에 프로농구 시즌이 끝나면 4월엔 대부분 휴가를 받는다. 5월에는 국가대표팀이 소집된다. 컨디션 회복 속도가 느린 하은주는 5월에 국가대표팀에 합류한 후 여름까지도 몸을 만들기 어려운 적이 많았다. 그가 시즌이 한창인 가을에는 국가대표에서도 맹활약했지만 시즌 종료 후 여름에 열리는 국제대회에서는 제대로 뛰지 못했던 이유다.
이렇듯 하은주는 특수성이 있다. 그의 특수한 상황을 이해하지 않는다면 ‘백 년에 한 번 나올까 말까’하다고 평가받는 하은주의 하드웨어는 무용지물이 될 수 있다. 일부 팬의 성숙하지 못한 비난이 아쉬운 이유다.
다행스럽게도 2013년 세계선수권과 2014년 인천 아시아경기 등은 가을에 열린다. 하은주가 활약하기에 무리가 없는 시기이다. 문제는 하은주가 그동안 부진했던 여름에 열리는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이다. 임달식, 이호근 등 전 대표팀 감독들은 “시즌 종료 후 곧바로 휴가를 주지 않고 재활에 힘쓴다면 여름에도 하은주를 뛰게 할 방법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라고 입을 모았다. 런던 올림픽 무대를 밟지 못한 여자농구의 부활을 위해 ‘국보급 센터’ 하은주의 활용법을 진지하게 고민해야 할 때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