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OUT]축구협회장 선거, 부정엔 레드카드를

  • 동아일보
  • 입력 2012년 12월 28일 03시 00분


코멘트
양종구 스포츠레저부 차장
양종구 스포츠레저부 차장
“4년 전 재발 방지책을 마련했더라면….” 한 원로 축구인은 내년 1월 치러지는 대한축구협회 수장 선거를 놓고 다시 축구계가 갈기갈기 찢어지는 모습을 보이자 4년 전 대의원선거 제도를 바꾸지 못한 것을 한탄했다. 소수인 24명(중앙연맹 8+시도협회 16)의 대의원으로 선거를 하다 보니 후보가 정책 제시보다는 개별 접촉으로 온갖 부정을 할 수 있었다. 당시 ‘축구 야당’을 자처하는 한 인사는 금품선거로 판을 흔들었다. 국제축구연맹(FIFA)이 집행위원 24명으로 주요 사안을 결정하다 보니 권력이 집중돼 금품수수 등으로 인해 ‘부정부패의 온상’으로 낙인찍힌 것과 똑같았다.

이런 비난 여론에 축구협회는 소수 대의원에게 집중되는 권력을 분산하기 위해 대의원 수를 늘리려는 시도를 했지만 방법론에 대한 반대에 부닥쳐 무산됐다. 또 판을 어지럽혔던 후보가 낙선한 뒤 출마하지 않겠다고 선언해 이런 일이 재발하지 않을 줄 알았다. 하지만 그 인사는 약속을 깨고 다시 나타났고 축구계는 또다시 몸살을 앓고 있다. 대의원 자격이 있는 시도협회장 선거가 진행 중인데 일부 후보들이 자신을 찍어줄 후보를 당선시키기 위해 온갖 방법을 동원하고 있다. 금품 수수와 이권 제시, 발전기부금 약속 등 확인되지 않는 온갖 악성 루머가 나돌고 있다.

현재로선 현행 대의원 시스템을 바꿀 수 없다. 대의원총회를 열어 제도를 바꿔야 하는데 차기 회장을 뽑기 위해 내년 1월 28일 열리는 대의원총회가 가장 빨리 열리는 것이다. 또 선거를 놓고 판이 갈려 의견 일치를 볼 수도 없다. 결국 선거가 끝난 뒤에야 제도 개선을 해야 할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협회 산하 단체 임원과 지도자, 심판, 선수대표 등을 아울러 100명 이상의 대의원을 만들어야 지금과 같은 폐해가 나오지 않는다고 지적한다.

결국 내년 열리는 차기 선거는 축구협회 상위 단체인 대한체육회와 문화체육관광부가 엄중히 감독할 수밖에 없다. 산하 단체의 임원 승인권을 가지고 있는 체육회와 문화부가 부정선거로 당선될 수 없도록 철저하게 관리하고 혹 부정선거로 당선될 경우 검증 작업을 해 무효로 처리해야 할 것이다. 그래야 한국 축구가 산다.

양종구 스포츠레저부 차장 yjongk@donga.com
#축구협회장 선거#부정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