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중 위안부가 매춘의 일종이라고 말해 물의를 빚은 류석춘 연세대 교수의 공격적 발언이 계속되고 있다. 그는 ‘학생들에게 사과할 생각이 없느냐’는 질문에 “잘못한 게 있어야 하는데 나는 사과할 일이 없다”고 하고, 취재하는 기자들에게는 “언론이 사회의 암”이라고 했다. 해당 과목의 강의를 중단시킨 학교 측에는 “실망했다”고 하고, 자유한국당이 징계 절차에 들어가자 “시류에 편승해 나를 버렸다”며 탈당했다.
학문의 자유는 당연히 보장돼야 한다. 하지만 교수는 학자인 동시에 학생들을 가르치는 스승이고, 책임 있는 사회 구성원이다. 강의 중 물의가 빚어졌다면 내용과 표현에 과한 점은 없었는지 다시 생각해보고, 오해라면 진솔한 태도로 바로잡으면 된다. 사람들의 문제 제기를 “입장이 다르기 때문에 척결하려는 것”으로 모는 것은 온당하지 않다.
위안부 문제에 대해서는 류 교수의 주장과 다른 연구와 증언들이 수없이 많이 있다. 심지어 일본 정부도 1993년 8월 당시 고노 관방장관 담화를 통해 “위안부 모집에는 관헌 등이 직접 가담한 적도 있었다. 위안소 생활은 강제적인 상황하의 참혹한 것이었다”고 명백히 밝혔다. 가해자조차 인정한 사실을 외면하고, 자신과 생각이 같은 집단의 연구를 내세우려면 그것을 뒷받침할 근거와 논리를 차분히 제시하는 방식이어야 한다. 강제로 끌려간 피해자들이 생존해 있는데 매춘부로 단정하듯 말하는 것은 결코 학자적 태도가 아니다. 그는 성희롱 논란을 일으킨 “궁금하면 한번 해 볼래요”라는 말에 대해서는 “‘조사를’이란 목적어를 쓰지 않았을 뿐”이라고 해명했는데, 발언의 전후맥락으로 보아 오해의 소지가 큰 게 사실이다.
강의실이라는 학문의 공간에서는 최대한 표현과 사유의 자유가 보장되어야 한다. 역사적 사회적으로 진실이라 여겨지는 사실들에 대해서도 얼마든지 새로운 시각과 해석을 제기해 토론과 논쟁의 소재로 삼을 수 있다. 하지만 피해자가 엄존하고, 여성의 인권이 짓밟힌 전쟁범죄와 같은 문제를 다룰 때는 그에 합당한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근거를 갖고 정제된 언어와 논리로 접근하는 게 학자의 올바른 태도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