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유산 답사]자랑스런 우리유산 굳이 값을 매기면…

  • 입력 1997년 12월 10일 08시 25분


금동미륵보살반가상
금동미륵보살반가상
우리 문화재중 가장 값나가는 것은 무엇일까. 문화유산을 돈으로 따지는 건 선조들의 예술혼에 누를 끼치는 일이지만 세인들에겐 관심거리. 최고가(最高價) 문화재는 6백억원에 달하는 금동불상(금동미륵보살반가상·국보83호·삼국시대·국립중앙박물관). 다음은 4백억∼5백억원선의 신라금관총출토 금관(국보87호·국립중앙박물관), 2백50억원의 상감청자(청자상감운학문매병·국보68호·12세기·간송미술관) 청자주전자(청자진사연판문표형주자·국보133호·13세기·호암미술관). 이들 문화재의 현재가격은 과거의 거래가격, 보험료 등을 바탕으로 산출된다. 금동불상은 96년 미국 애틀랜타올림픽 문화교류전 출품을 위해 5천만달러(당시 4백억원)의 보험에 가입했었다. 환율이 급등했으니 지금은 6백억원을 호가하기에 부족함이 없다. 지난 여름 영국 대영박물관 나들이에 나선 신라금관의 보험료는 50억원. 당시 보험료가 너무 낮다는 논란이 일기도 했지만 이는 영국정부가 안전을 보장하고 우리 문화재를 홍보한다는 차원에서 책정된 액수. 전문가들은 이를 감안해 신라금관의 가격을 4백억∼5백억원으로 추정한다. 상감청자는 절정의 상감기법을 보여주는 고려청자로 아직 이를 능가하는 청자는 없다. 1936년 간송 전형필선생이 일본인으로부터 1만7천원을 주고 구입한 것이다. 당시 7백원 내외였던 청화백자필통이 최근 10억원에 거래됐으니 상감청자는 2백50억원선. 청자주전자의 1963년 당시 매매가는 5백만원. 20만원이었던 청화백자필통이 약 10억원인 것으로 미루어 이 주전자도 2백50억원선. 그러나 문화재를 돈으로 본다는 것은 투기화할 우려가 있는 등 부작용이 적지 않다. 지난해 뉴욕 크리스티경매에서 백자철화용문항아리가 예상가의 20배가 넘는 64억원에 낙찰됐던 일이 대표적 예. 당시 마지막까지 우리나라의 두 재벌이 경쟁을 벌였고 이 바람에 엄청난 외화를 낭비했다. 전문가들은 『이런 경매 행태는 우리 문화재를 많이 소유한 일본인들의 값올리기 전략에 놀아날 우려가 적지 않다』고 말한다. 고가 문화재 랭킹에 가장 많이 포함된 것은 간송미술관 소장품들. 일제치하 전형필선생이 재산을 다바쳐 사들인 값비싼 문화재다. 그러나 그가 수집한 것은 돈이 아니라 민족정신이었다. 〈이광표기자〉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