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의 역전에서 대필을 해주며 혼자 사는 중년의 노처녀와 교통사고로 어머니를 잃은 어린 소년이 서로 만나 엮이는 것으로 영화는 시작된다. 소년이 아버지를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여정에서 여주인공의 외로움과 무의미한 삶이 치유되는 과정이 마치 현실 그 자체를 보는듯 담담하게 그려진다.
나야 고맙게도 아들이 둘이나 있는 ‘대가족’ 속에 살고 있지만 때로 그 북적거림이 더 나를 아프고 외롭게 할 때가 있다. 그래서일까. 노처녀 여주인공과 어린 소년이 나누는 단촐한 우정이 어쩜 더 부럽고 귀하게 보이기도 했던 모양이다.
한때 어린 소견으로 헤어질 바에는 차라리 사랑을 시작하지 않는 편이 좋다고 믿었던 적도 있었다. 하지만 사랑하는 이들을 어쩔 수 없이 떠나보내는 경험을 하나 둘씩 기억의 창고에 넣다 보니, 이별 그 자체가 사랑을 완성시킨다는 생각도 든다. 기왕 떠나 보내야 한다면 고즈넉한 풍경의 작은 간이역같은 그런 고독도 괜찮을듯 싶다.
누구에게도 침해받지 않는 영원하고 순수한 사랑에 대한 내 헛된 기원 때문인가. 인파로 덮인 중앙역에서 시작한 영화가 한적한 교외의 작고 아름다운 집에서 끝나는게 예사롭게 보이지 않는다. 만약 헤어진 정인(情人)에 대한 추억을 영원히 가슴에 묻어야 하는 불운한 처지에 있다면 ‘중앙역’의 이별에 동참해 긴 울음으로 그 상처를 달래보면 어떨까.
이나미(신경정신과 전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