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정당화는 원내정당화와 맞물려 있다. 정당이 입법 주체인 국회의원 중심의 원내정당으로 바뀌어야 정치의 중심이 국회로 옮겨지고 입법기능도 강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16대 국회 법률안 처리 현황 (2002년5월~2002년12월) | ||||
접수 | 가결 | 폐기 및 철회 | 미처리 | |
의원 발의 | 1,162 | 259 | 350 | 553 |
정부 제출 | 443 | 324 | 58 | 61 |
정책중심 정당이 되려면 당 조직과 기능은 구체적으로 어떻게 바꿔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여러 방안들이 나오고 있다. 대체적인 윤곽은 원내정당 체제에서의 당 리더인 원내총무 아래에 수석부총무급이 정책을 총괄하는 방식이 될 것으로 보인다.
당에는 국회 상임위원회별로 맞편성한 10여개의 분과위원회를 만들어 소속 의원들의 입법활동을 지원하게 된다. 당 대변인이 해오던 정책브리핑이나 대국민 정책홍보 기능도 분야별, 또는 분과위원회 간사가 직접 해야 한다는 게 정책정당화를 요구하는 의원들의 주장이다. 현재의 당 정책위원회가 확대 개편한 정책관련 기구가 당의 근간이 되는 셈이다.
2000년 5월부터 활동을 시작한 16대 국회의 법률안 처리 현황을 보면 우리나라 의원들이 고유기능인 입법활동에 얼마나 소홀한지, 정당들이 정책과는 얼마나 거리가 먼지를 알 수 있다. 2년반 동안 의원 입법은 1162건 발의에 259건만 가결됐다. 국회의원(재적 273명) 한 명당 단 한 건의 법률안도 생산하지 못한 것이다. 그나마 가결된 의원입법안 중 상당수는 정부 부처 공무원들이 만들었으면서도 법안을 통과시키기 쉽다는 이유로 의원들의 이름을 빌려 제출한 ‘숨은 정부입법’이다.
그러나 정당의 외형만 정책 기구 중심으로 바꾼다고 해서 정책정당이 이뤄지는 것은 아니다. 법안의 내용도 모른 채 당론에 따라 찬반표를 던지는 현재의 의원 자질로는 제대로 된 정책을 생산해 내기 어렵다. 상당수 초·재선 의원들조차 “국회의원 활동의 요체는 정책이 아니라 정치다”며 정책을 홀대하는 상황에서는 ‘국회=통법부’라는 오명을 벗기 어렵다.
정책정당화는 의원 개개인이 ‘입법활동이 본업이다’는 인식을 갖고 정책개발을 위해 꾸준히 준비하고 공부하는 자세가 선행돼야만 가능하다.
윤종구기자 jkmas@donga.com
구독 33
구독 6
구독 372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