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경제정책 리더들]<11>농림부-해양수산부 주요간부

  • 입력 2003년 5월 5일 18시 14분


《농림부는 산업으로서의 농업뿐 아니라 농촌사회 농민복지 국민보건 등 다양한 과제를 안고 있다. 이 때문에 경제부처이면서도 사회·정치적 성격도 강하다. 요구가 많은 농민, 경제논리를 주장하는 다른 부처, 지역구를 의식한 정치권, 개방의 상징인 세계무역기구(WTO) 등 부딪쳐야 할 대상이 많다. 해양수산부는 새 정부 출범 후 부쩍 힘이 붙은 경제부처다.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이 과거 7개월 동안 장관을 지낸 ‘대통령을 배출한 부처’이기 때문이다. 지난달 초 노 대통령이 업무보고를 받는 자리에서 일일이 코멘트 하는 등 각별한 애정을 나타내 눈길을 끌었다. 》

▼농림부▼

▽농림부를 이끄는 1급 간부들〓김주수(金周秀) 차관보는 ‘해결사’란 별명을 갖고 있다. 구제역 파동 때 축산국장을 지냈고 90년대 중반 쌀 부족 사태가 생기자 식량생산국장을 맡았다. 뛰어난 돌파력으로 ‘사지(死地)’에서 여러 번 살아나왔다. 소신이 강하고 부하들 사이에서 ‘같이 일하고 싶은 간부’로 꼽힌다.

소만호(蘇萬鎬) 기획관리실장은 기획 분야에 밝다. 주요 국장을 두루 맡았으며 현 정부 출범 전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 참여해 중용이 예상됐다. ‘꾀돌이’로 불릴 만큼 아이디어가 풍부하다. 각종 토론회에 많이 참석했다. 바둑 1급의 실력을 자랑한다.

최정섭(崔正燮) 통상정책관(개방직)은 WTO 농업협상 등 대외 협상을 위해 올 3월 영입된 통상 전문가. 훤칠한 키와 깔끔한 처신 덕분에 신사(紳士)로 불린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 주로 활동했고 영어실력이 뛰어나다.

▽개방시대 농업의 새 틀을 짜는 국·과장들〓국장 가운데 한국 농업의 새 틀을 짜는 양 날개는 정학수(丁鶴秀) 농업정책국장과 이명수(李銘洙) 국제농업국장. 정 국장은 농업인력 농지 협동조합 등 국내 농업의 큰 그림을 그리고 이 국장은 WTO 농업협상 등 해외 실무를 맡는다.

정 국장은 농림부 국장의 꽃으로 불리는 농업정책국장을 두 번째 맡고 있다. 2000년 농수축협의 통합을 이끌어냈다. 친화력이 돋보인다.

이 국장은 안팎에서 인정하는 국제통. 제네바 농무관을 거쳤고 로마에 있는 유엔식량농업기구(FAO) 본부에서도 일했다. 두뇌회전이 빠르고 업무에 치밀하다.

김선오(金善吾) 농산물유통국장은 곡물을 제외한 모든 농산물의 가격과 수급조절을 책임지고 있다. 고추 파동, 양파 파동 등 ‘파동’이 많아 바람 잘 날이 없다. 클래식 음악에 조예가 깊다.

이준영(李浚英) 식량생산국장은 1조4000억원 규모의 추곡수매자금을 관리하며 쌀 문제를 총괄한다. 육사 출신으로 윗사람의 의중을 잘 읽는다는 평.

김달중(金達重) 축산국장은 축산국에서 잔뼈가 굵었다. 업무추진력이 뛰어나 ‘비교적 과격한’ 축산단체와의 협상에 적임자라는 평. 이름의 영문 첫 자를 따 ‘리틀 DJ’로 불린다.

최도일(崔燾一) 농촌개발국장은 농림부 예산의 25%인 2조원을 집행한다. 저수지 방조제 등 농업생산기반 조성이 주 업무로 환경친화적 개발에 관심이 많다.

이수화(李秀華) 농산물품질관리원장 직무대리는 시야가 넓고 특히 농정과장 업무를 잘했다는 평을 받는다. 화폐금융론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신현확(申鉉碻) 전 총리의 조카사위.

농림부 과장 가운데는 김현수(金炫秀) 식량정책과장과 이양호(李良鎬) 기획예산담당관이 주목받고 있다.

농림부 1급 이하 주요 간부
직급이름현직연령출신지역출신학교공직입문
1급김주수차관보51경북 의성대구상고, 성균관대 경제학과행시 18회
소만호기획관리실장52전북 남원전주고, 서울대 경제학과행시 18회
최정섭통상정책관49전남 보성광주일고, 서울대 경제학과특채
국장급정학수농업정책국장49전북 고창고창고, 고려대 행정학과행시 21회
이명수국제농업국장52전북 부안전주고, 연세대 경영학과행시 19회
이준영식량생산국장52경남 밀양대구고, 육사 특채
김선오농산물유통국장54전북 군산군산고, 연세대 정외과행시 18회
김달중축산국장50전북 정읍전주고, 중앙대 행정학과행시 21회
최도일농촌개발국장51전남 나주광주일고, 서울대 농학과기시 14회
김영만공보관46경북 고령경북고, 경북대 행정학과행시 23회
정승감사관45전남 완도동신고, 전남대 행정학과행시 23회
박현출농업정보통계관47전남 무안목포고, 단국대 법학과행시 25회
김재수주미 농무관46경북 영양경북고, 경북대 경제학과행시 21회
유병린주제네바 농무관48경남 산청경신고, 고려대 농경제학과행시 24회
이수화농산물품질관리원장 직대48경북 청도 >경북고, 성균관대 행정학과행시 19회
이상용농업연수부장55경기 이천장호원고, 육사특채
허윤진국방대학교 파견48경남 진주부산고, 서울대 농경제학과행시 22회
김종진농어업·농어촌 특위 파견44경남 하동여의도고, 고려대 경제학과행시 24회
과장이양호기획예산담당관44경북 선산영남고, 영남대 행정학과행시 26회
김현수식량정책과장42경북 달성경북고, 연세대 경제학과행시 30회
행시는 행정고시, 기시는 기술고시. 자료:농림부

▼해양수산부▼

▽해양부를 이끄는 1급 간부들=박덕배(朴德培) 차관보는 해양학과를 나와 기술고시에 합격한 전형적인 해양 전문관료. 다부진 일처리로 사무관 시절부터 ‘일꾼’으로 꼽혔다. 입 바른 말을 잘해 상사들과 때로 마찰을 빚기도 했지만 정연한 논리로 대부분 오해를 풀고 업무능력을 인정받았다. 주미 한국대사관에서 수산관으로 오래 근무해 국제업무에도 밝다.

서정호(徐廷皓) 기획관리실장은 행정고시 합격 후 해운항만청과 해양수산부에서만 근무한 정통 해양수산관료. 노 대통령이 해양부 장관 시절 가장 아꼈던 공무원이란 평을 듣는다. 해운항만청 진흥과장 시절 항로별 면허를 없애는 ‘항로 개방화 정책’을 도입해 국내 해운회사들의 국제경쟁력을 높였다. 공보관을 1년 반 정도 지내 언론계에도 지인이 많다.

이은(李垠) 중앙해양안전심판원장은 외국계 해운회사에서 항해사로 5년가량 근무하다가 공무원으로 변신한 특이한 경력을 갖고 있다. 실무 경험이 많아 선박 및 해양안전 분야 전문가로 꼽힌다. 노 대통령이 해양부 장관으로 있을 때 전문성이 뛰어난 공무원이란 칭찬을 받았다. 영어에 능통하다.

강무현(姜武賢) 국립수산과학원장은 옛 문화공보부에서 공직생활을 하다가 해운항만청으로 넘어왔다. 사무관 시절 ‘항로 개방화 정책’을 입안했다. 해운항만청 출신이지만 수산정책국장 등 수산 분야 직책을 많이 거쳤다. 자기 의견을 내세우기보다 다른 사람의 말을 먼저 듣는 스타일.

▽‘바다로, 세계로, 미래로’를 꿈꾸는 국·과장들=김춘선(金春善) 해양정책국장은 기획예산처 공공관리단장으로 있다가 지난달 해양부로 왔다. 허성관(許成寬) 장관이 박봉흠(朴奉欽) 기획예산처 장관에게 특별히 부탁해 영입했다. 해군 항해장교 출신.

최장현(崔壯賢) 해운물류국장은 1980년대 중반 110여개사에 이르던 해운회사를 35개사로 구조조정한 ‘해운산업 합리화 방안’을 이끌어낸 주역. 결속력이 높은 것으로 유명한 ‘호남, 고려대, 해병대’ 출신이다. 미국 해무관과 국제협력관으로 오래 근무했다.

김영규(金永奎) 어업자원국장은 수산대를 나와 수산청에서 잔뼈가 굵은 수산 전문가. 조용하면서도 치밀한 성격으로 수산청 출신 공무원 가운데 ‘가장 잘 나간다’는 평.

임기택(林基澤) 중앙해양안전심판원 수석조사관은 유엔 국제해사기구(IMO) 산하 협약준수전문위원회(FSI) 의장으로 3번 연임된 국제통.

과장급으로는 우예종(禹禮鍾) 기획예산담당관과 김이운(金二雲) 어업정책과장이 ‘선두 주자’로 꼽힌다.

해양수산부 1급 이하 주요 간부
직급이름현직연령출신 지역 출신 학교공직 입문
1급박덕배차관보50충남 서천양정고, 서울대 해양학과기시15회
서정호기획관리실장49충남 천안천안고, 한양대 법학과행시17회
이 은중앙해양안전심판원장51전남 순천순천고, 해양대 항해학과특채
강무현국립수산과학원장52강원 원주원주 대성고, 연세대 영문학과행시22회
국장급김춘선 해양정책국장48서울경기고, 서울대 지리학과행시21회
장맹수수산정책국장54전남 순천순천 매산고, 방송대 행정학과일반승진
최장현해운물류국장47광주광주일고, 고려대 경영학과행시21회
이종천항만국장57전북 군산서울사대부고,서울대 토목공학과기시4회
김영규어업자원국장46경남 양산성남고, 수산대 어업학과기시14회
신평식공보관48충남 서천남성고, 성균관대 경영학과행시24회
오공균안전관리관52전북 부안전주신흥고, 해양대 기관학과특채
방기혁국제협력관48경남 김해부산고, 서울대 경제학과행시23회
김형남국립해양조사원장52서울 검정고시, 건국대 경제학과행시22회
이선준국립수산물품질검사원장51충남 청양공주고, 육사특채
이재균부산지방해양수산청장49부산부산고, 연세대 행정학과행시23회
한준규인천지방해양수산청장53충남 홍성배재고, 연세대 정치외교학과특채
김덕일여수지방해양수산청장47전남 장성광주일고, 서울대 해양학과행시23회
심호진마산지방해양수산청장50부산검정고시, 수산대 증식학과기시15회
정만화울산지방해양수산청장52경북 영일경북고, 육사특채
임기택중앙해양안전심판원 수석조사관47경남 마산마산고, 해양대 항해학과특채
행시는 행정고시, 기시는 기술고시, 일반승진은 7급 공채. 자료:해양수산부

특별취재팀

▼농림부-해양부 간부▼

농림부는 영호남 출신이 압도적으로 많은 부처다.

장·차관을 포함해 국장급 이상 25명 가운데 24명이 두 지역 출신. 경기 이천이 고향인 이상용(李相容) 농업연수부장이 유일한 비(非)영호남이다. 각 국(局)의 선임과장급 이상 38명 중에서도 영호남 출신이 35명이다. 정설(定說)은 없지만 농업을 중요하게 여기는 시골에서 자라 농림부에 많이 지원했을 것이라는 해석이 많다.

특히 전북 출신이 요직을 차지해 눈길을 끈다. 6명의 핵심 국장 가운데 선임국장인 정학수(丁鶴秀) 농업정책국장을 비롯해 이명수(李銘洙) 국제농업국장, 김선오(金善吾) 농산물유통국장, 김달중(金達重) 축산국장 등 4명이 전북 출신이다.

독특한 순혈주의(純血主義)도 농림부의 특징. 차관 이하 선임 과장급 이상 간부 전원이 사무관 때부터 농림부에 몸을 담았다.

지방 출신이 많고 사무관 시절부터 함께 일한 덕분에 직원끼리 매우 친하다. 인사가 있을 때마다 환영식 환송식을 갖고 경조사도 꼼꼼히 챙기는 편이다. 국·과장들이 사석에서는 형 아우로 부를 정도다.

해양수산부는 1996년 8월 해운항만청과 수산청 등이 통합하면서 생긴 신설 경제부처다.

역사가 짧은 부처치고는 조직이 상당히 크다. 1실(기획관리실), 5국(해양정책국 등), 5관(감사관, 안전관리관 등), 12개 지방청(부산지방해양수산청 등)과 4개 소속기관(국립수산과학원 등)에서 3981명(기능직 포함)이 근무한다. 특히 선박직, 토목직 등 전문직 공무원이 전체 정원의 절반가량 된다.

간부들의 출신 지역은 제각각이다. 해양수산 업무와 인연이 깊은 해안지방에서부터 내륙 지방 도시 출신까지 다양하게 구성돼 있다. 이 때문에 비교적 지역색이 옅은 부처라는 평가를 받는다.

대학별로는 수산대(현 부경대)와 해양대 출신이 많은 점이 눈에 띈다. 부처 특성상 업무유관성이 높은 이들 대학 출신 전문가가 기술고시나 특채를 통해 많이 임용됐기 때문이다.

이은우기자 libra@donga.com

송진흡기자 jinhup@donga.com

▼2003 경제정책 리더들 취재팀▼

▽팀장〓권순활 경제부 차장

▽팀원〓송진흡 이은우 고기정 김동원 김광현 구자룡 천광암

공종식 황재성 기자 (이상 경제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