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과 바람의 신은 인간들이 불만을 늘어놓는 시끄러운 소리 때문에 쉴 수가 없어 인간을 없애고자 홍수를 일으켰다. 홍수가 일곱 낮 일곱 밤 동안 땅을 휩쓸어버렸다. 신에게 선택받은 착한 인간 지우수드라는 배를 만들어 살아남았다.”(수메르 신화)
“먼 옛날 백두산에 비가 40일 동안 내렸다. 산꼭대기에 살던 어머니와 유복자가 살아남았다. 어머니의 간절한 기도를 들은 하늘의 여와씨는 증손녀를 내려보내 홍수를 가라앉히고 유복자와 혼인케 했다.”(백두산 홍수 신화)》
세계에는 대홍수와 관련해 수백개가 넘는 고대 신화가 있다. 부족간 왕래가 많지 않았을 먼 옛날인데도 이들 신화 가운데는 홍수의 내용이나 시기가 비슷한 것들이 많다. 백두산 홍수 신화만 해도 홍수가 계속된 기간이 노아의 홍수 이야기와 같다. 그렇다면 홍수는 신화 속 이야기가 아니라 실제로 있었던 것은 아닐까. 이 물음은 오랫동안 과학자들의 호기심을 자극해 왔다.
1996년 미국 학자들의 연구가 홍수 탐사에 불을 붙였다. 컬럼비아대 지질학자인 빌 라이언 교수와 월터 피트먼 교수가 러시아 과학자들의 도움을 받아 흑해를 탐사한 끝에 흑해에서 대홍수가 있었다는 이론을 처음으로 제기한 것.
왜 흑해였을까. 흑해는 홍수 신화를 갖고 있는 메소포타미아, 스키타이, 미케네, 페니키아 등 수많은 고대 국가들이 번성했던 중심지다. 홍수가 있었다면 흑해가 공통분모가 됐을 것이라는 가설이었다. 노아의 방주가 머물렀던 곳으로 알려진 아라랏산도 흑해 연안 국가인 터키에 있다.
두 교수는 20여년에 걸친 각종 문헌 연구와 현지 탐사를 통해 1만5000년 전 빙하기 얼음이 녹기 시작하면서 7500년 전에 이르러 지중해로부터 흑해 남서쪽 보스포루스해협 너머로 나이아가라폭포의 200배에 달하는 속도로 바닷물이 유입되는 ‘대홍수’가 일어났으며 그 결과 ‘흑강(江)’이 ‘흑해(海)’가 됐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흑해에 존재하는 독특한 비산소층을 홍수의 대표적 증거로 들었다. 흑해의 해저 200m 이하는 산소가 존재하지 않는 거대한 비산소층으로 이뤄져 있다. 바닷물이 유입되면서 밀도 차이로 바닷물과 민물간 층이 형성됐고 층간 대류 작용이 멈추면서 대기와의 접촉이 차단된 아래층에서 산소가 점차 사라졌다는 설명이다.
이후 각국의 과학자들이 홍수 이론을 증명하기 위해 흑해로 향했다. 흑해 연안국가인 불가리아 루마니아를 비롯해 멀리 미국에서까지 탐사팀이 몰렸다. 명목상으로는 흑해 이론을 증명하고 인류 고대사의 숨겨진 사실을 밝혀내겠다는 의도였지만 흑해 속에 숨겨진 수많은 유물을 노린 측면도 없지 않았다.
미 해양탐사연구소(IFE) 로버트 발라드 소장(61)이 1999년 흑해 탐사에 뛰어들면서 이후 흑해 탐사는 IFE를 중심으로 일원화됐다. 발라드 소장은 1985년 타이태닉호를 발견해 세계적인 명성을 얻은 해저 탐사가. 이후 미국지리학회 등 미국 내 주요 해양 전문가들을 비롯해 터키와 불가리아, 루마니아 등 흑해 주변국 과학자들도 IFE와 손을 잡고 탐사에 나섰다.
첫 탐사 도중 IFE는 바다 밑 170m 지점에서 민물 서식종 조개들을 발견했다. 탄소 동위원소 분석 결과 조개는 7500년 이상 된 것들이었다. 최고령은 1만5500년까지 거슬러 올라갔다. 즉 7500여년 전만 해도 이 조개가 살던 물은 민물이었지만 홍수와 같은 과정을 거쳐 갑작스럽게 바다가 됐다는 게 입증된 셈이었다.
2000년 터키 해안 탐사는 흑해 탐사 사상 가장 수확이 많았던 해로 기록된다. 탐사팀이 해저 320m 지점에서 발견한 고대 선박은 전 세계 고고학계를 놀라게 했다. 1500년 전 비잔틴시대 범선으로 추정된 이 배는 땅 속에 묻힌 부분을 제외하고 전혀 상한 곳이 없이 완벽한 모습으로 나타나면서 홍수 이론에서 제기된 흑해의 비산소층 존재를 처음으로 확인해 줬다. 이 발견은 미국의 권위 있는 과학전문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이 수여하는 ‘2000년 위대한 고고학적 발견’상을 받았다.
바다 밑 100m 지점에서는 ‘사이트 82’로 불리는 인간 거주지 추정 지역이 발견됐다. 이곳에서 가로 10m, 세로 12m의 직사각형 돌이 발견된 것. 너무나 인공(人工)적인 모양의 이 돌은 흑해 연안 지역에서 발견되는 신석기시대 거주지와 유사한 형태였다. 석기와 도자기 조각 등도 함께 발견됐다. 대홍수 같은 자연재해가 아니고서야 거주지가 통째로 물 속에 잠기기는 불가능한 일. 연구팀은 중요한 ‘홍수의 증거’를 또 하나 추가했다고 자평했다.
2001년과 2002년에는 불가리아 해양학연구소(IO-BAS)가 IFE 탐사팀과 손을 잡고 흑해 서부의 불가리아 및 루마니아 해안으로 탐사 영역을 확장했다. 탐사팀은 각각 민물층과 바닷물층의 것으로 보이는 지질층을 발견해 홍수 이론을 뒷받침하는 증거를 추가했다.
흑해 탐사를 시작한 지 5년째로 접어든 2003년 8월 발라드 박사는 다시 41일간의 흑해 탐사 작업에 나섰다. 이번 탐사에서 연구팀은 2000년 발견한 인간 거주지 ‘사이트 82’를 다시 찾아 당시 흑해에 살던 고대인들이 누구였으며, 어떤 경로로 바다 속에 잠겼는지에 대해 증거를 수집할 계획이다. 구체적인 성과는 분석 작업이 끝나야 밝혀질 예정이다. 이번 탐사는 인공위성 설비를 통해 웹사이트(www.expedition2003.org/blacksea)로 실시간 중계됐다.
흑해 홍수 이론에 대한 반박도 있다. 뉴펀들랜드 메모리얼대의 해양지질학자 알리 악수는 라이언-피트먼 교수의 홍수 이론에 대해 “선입견에 치우친 아이디어에 증거를 끼워 맞췄다”고 폄하하는 보고서를 올해 초 펴냈다. 그는 ‘흑강’이 바다가 된 것은 홍수 때문이 아니라 오랜 시간에 걸쳐 지중해 물이 흘러든 결과라고 설명했다.
미스틱(미 코네티컷주)=곽민영기자 havefun@donga.com
▼발라드 美 해양탐사연구소장 인터뷰▼
미국 해양탐사연구소(IFE)의 로버트 발라드 소장(61.사진)은 자타가 공인하는 세계 최고의 해양 탐사 전문가다. 소설 ‘해저 2만리’의 주인공인 ‘네모 선장’이 그의 별명이다. 40년 넘게 전 세계를 돌면서 125차례 해양 탐사를 수행했다. 미국의 오랜 항구도시인 코네티컷주 미스틱에 있는 그의 사무실은 벽면 절반이 세계 지도로 가득 차 있었다.
―해저 탐사를 시작하게 된 계기는….
“(세계 지도를 가리키며) 생각해 보라. 지구의 72%는 물이다. 드러나지 않은 무궁무진한 세계가 저 안에 숨어 있다. 나는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에서 태어나 자랐다. 어렸을 때부터 거대한 태평양을 바라보면서 저 안에는 뭐가 있을까, 꿈과 호기심을 키워 왔다. 네모 선장은 소년 시절 나의 영웅이기도 했다.
어른이 돼 바다를 탐사할 기술을 갖게 되면서 꿈은 현실이 됐다. 처음엔 자연 탐사를 주로 했지만 자연스레 인류 역사 탐사로 관심이 이어졌다. 바다 속은 인류 역사의 수많은 순간들로 가득하다.”
―왜 흑해를 탐사하게 됐나.
“에티오피아에서 발생한 현존 인류는 흑해 인근을 통해 전 세계로 퍼져 나간 것으로 보고 있다. 문명의 발상지인 메소포타미아 인도 이집트 등에서도 가깝다. 때문에 흑해에는 수천년간 문명의 흔적을 담은 100만척가량의 배가 수몰돼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 흑해의 90%는 산소가 없는 비산소층으로 이뤄져 있다.
생명은 살 수 없지만 가라앉은 모든 것들이 썩지 않고 원형 그대로 보존되는 최적의 환경이다. 때문에 수많은 문화유산들이 흑해 밑에 그대로 남아 있다. 전 세계 모든 박물관에 있는 유물을 모은 것보다 훨씬 많은 인류 역사가 그 안에 담겨 있다.”
―노아의 홍수가 실제 있었다고 믿나.
“성경뿐 아니라 수메르 잉카 이집트 중국 등 대부분의 고대 국가들이 홍수 신화를 갖고 있다. 흑해 탐사를 통해 나는 기원전 7500년 흑해에서 큰 홍수가 있었다는 점을 확신하게 됐다. 그러나 반드시 그것이 노아의 홍수였는지는 아직 모르겠다. 내 생전에 해답을 얻을 수 있을지는 모르지만 답을 찾을 때까지 탐사를 계속해 나갈 것이다.”
구독
구독
구독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