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창욱 생산팀장은 본격적인 작업에 들어가기에 앞서 팀원들에게 생산량 목표와 유의사항을 강조하고 있었다. 김 팀장은 애써 입 모양을 크게 벌리며 설명하는 동시에 작업지시 내용을 종이에 적어 내려갔다. 팀원 중에 전혀 듣지 못하거나 약간만 들을 수 있는 청각 장애인들이 포함돼 있기 때문이다.
“오늘은 아카시아껌을 1500박스 생산한다. 개인위생을 철저히 하고, 기계를 만질 때 안전사고에 조심하도록, 그리고 어려운 점이 있으면 바로 알려주기 바란다.”
청력이 일부 살아있는 이민숙씨(24·여)는 연방 고개를 끄덕였지만 나머지 청각 장애인들은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눈치였다. 팀장이 적은 종이를 돌려보는 것으로 작업 준비가 모두 끝났다. 멈춰 있던 포장기계와 분진흡입기가 요란한 소리를 내며 움직이기 시작하자 껌이 1분에 760개씩 완제품 형태로 쏟아져 나왔다.
껌과 초콜릿을 생산하는 해태제과의 천안 1, 2공장에서는 이달 초부터 ‘조용한 실험’이 진행되고 있다. 이른바 ‘차별 없는 공장만들기’ 실험이다.
해태제과는 천안공장을 ‘장애인 채용 모델화공장’으로 지정하고 8일 청각장애인 11명과 지체장애인 5명 등 모두 18명의 장애인을 정직원으로 채용해 생산라인에 투입했다. 껌공장에 10명, 초콜릿공장에 8명이 각각 배치됐다.
임금과 복지혜택은 물론 업무 배분에서도 다른 직원들과 일절 차별을 두지 않는다는 파격적인 조건. 일부 장애인들은 숙련을 요하는 기계 조작 요원으로 양성되고 있다.
유근진 생산지원팀장은 “장애인을 투입한 이후에도 공장의 생산성에는 별 차이가 없다”며 “아직은 미숙하지만 집중력과 기술을 배우려는 의욕이 강하기 때문에 몇 달 지나면 잘 할 것으로 본다”고 평가했다.
해태제과 역시 얼마 전까지는 다른 대기업들처럼 장애인 고용을 기피하는 회사였다. 장애인 고용의무(300인 이상 사업장은 상시근로자의 2%)를 지키는 대신, 해마다 4억5000만원을 장애인고용촉진부담금으로 납부해왔다. 생산라인에 지장을 줄 바에는 차라리 돈을 내는 게 낫다는 생각에서다.
“처음에 장애인을 고용해보자는 얘기가 나왔을 때 현장에서는 모두 반대했습니다. 생산효율이 떨어질 게 분명한데 어떻게 고용하느냐는 주장이었습니다. 그러나 장애인을 계속 기피해서야 되겠느냐는 자성론이 나오면서 한번 해보자는 쪽으로 돌아섰습니다.”(김범영 생산본부장)
해태제과는 장애인 고용을 통해 일석이조의 효과를 내심 바라고 있다. 장애인을 차별 없이 잘 대우해준다면 일이 힘들다며 공장을 떠나는 미혼 여사원의 빈자리를 이들로 메울 수 있고, 기업 이미지도 좋아지게 되리라는 기대감이다.
해태제과는 올해 말까지 장애인 근로자수를 100명 이상으로 확대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이번 주에는 천안공장에 이어 광주공장과 안양공장의 생산라인에서 일할 장애인 15∼20명을 선발하기 위한 서류전형 작업에 들어갔다.
천안=성동기기자 esprit@donga.com
구독
구독
구독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