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지리학과 박삼옥 교수는 최근 대한학술재단에 ‘사회 경제 공간으로서 접경지역 연구’라는 보고서를 제출했다.
이 보고서에는 이 지역의 삶의 질을 보여주는 각종 지표와 함께 지역 주민들이 느끼는 소외감을 수치로 나타내 관심을 끌고 있다.
▽드러난 낙후도=박 교수가 대상으로 삼은 지역은 접경지역지원법상 경기도에 속하는 시와 군 가운데 고양시를 제외한 김포시, 파주시, 동두천시, 연천군, 포천시, 양주시 등 6개 시군.
경기 남부의 인구밀도가 km²당 1216명인 데 비해 이들 6개 시군은 262명에 불과했다.
의료인 수는 경기도 평균이 1000명당 4.1명이지만 이곳은 2.8명이다.
접경지역 주민들의 예금총액은 2조4776억원으로 경기 남부 지역의 5%에 불과했다. 연천의 경우 조사대상 가구 중 45.8%가 연간 1000만원의 소득을 얻는 데 그쳤다.
자동차 등록대수는 1000명당 327대로 경기도 평균을 넘지만 이는 대중교통수단이 미비해 비싼 개인별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결과로 풀이된다.
하수도 보급률을 2001년 기준 25%로 전국 평균 73.2%에 턱없이 모자란다.
▽소외감=주민들이 느끼는 소외감이 객관적인 지표보다 더욱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살고 있는 시군에 대한 만족도를 묻는 질문에 좋다는 평가는 11.1%에 불과했고 좋지 않다고 느끼는 경우는 53.6%나 됐다. 이는 이들 지역에 대한 과도한 규제로 교육, 산업 등이 뒤지면서 주민들의 정주의식이 희박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 같은 사실은 자녀들을 이 지역 밖에서 살게 하고 싶다고 대답한 주민이 대다수로 나타난 것에서도 확인된다.
조사대상 중 75%가 계속 현 거주지에 살겠다고 응답했으나 이들 중에서도 자녀들만은 외지로 내보내겠다는 응답은 56%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주민들은 또 접경지역이라고 불리는 것조차 싫어할 정도로 지역정체성을 부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각종 규제정책이나 현재 추진되는 일부 개발사업 과정에 주민 의견이 제대로 반영되지 못하기 때문인 것도 한 원인으로 지적된다.
▽대안은 없나=현재 접경지역종합계획이 추진 중이다. 경기지역의 경우 국비, 도비, 시비 및 민간자본까지 합쳐 모두 2조4417억여원의 예산이 투입될 예정이다. 대부분 기반시설을 확충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관광자원 확충 사업이다.
그러나 여전히 수도권정비법상의 규제와 군사시설보호구역, 상수원보호구역 등 이중삼중의 규제 때문에 개별 사업이 추진되는 데에는 상당한 어려움이 예상된다.
이동영기자 argus@donga.com
구독
구독
구독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