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잠실동 가락동 고덕동 등에서 재건축 대상 아파트 값의 오름세가 두드러진다.
가락 시영, 잠실 주공, 고덕 주공 등은 2월 들어 평형에 따라 500만∼2000만원 올랐다.
투기 세력이 다시 활동을 시작했기 때문일까.
그러나 부동산 중개 현장에서 최근 투기 세력이 아파트 값을 부추긴다는 단서를 발견하기는 어렵다. 강남구 대치동에서 20년간 중개업에 종사해온 한 중개업자는 “요즘 서울의 아파트 시장은 실수요자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다”고 말했다.
실수요자 중심의 시장에서도 집값이 강세라면 10·29대책 전후에 쏟아진 ‘투기세력에 의한 아파트값 거품론’은 다소 과장됐을 수 있다. 투기에 의한 거품도 있지만 탄탄한 실수요층이 아파트 값을 뒷받침하는 것도 사실이라고 중개업계는 주장한다.
적어도 지난해 국토연구원이 강남 아파트 값의 40%는 거품이라고 분석한 것은 설득력이 떨어지는 것 같다.
‘집값 거품론’은 80년대 이후 늘 우리 곁에 있었다. 90년대 후반 일부에서는 집값이 폭락할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그 근거로 100%에 육박한 주택보급률이 인용됐다.
현재 서울 등 수도권의 주택보급률은 90%를 웃돌아 신규 주택 수요가 그리 많지 않아 보인다. 그러나 전체 가구 가운데 주택을 소유한 가구의 비율은 서울 46%, 인천 59.5%, 경기 50.6% 등에 불과하다.
더욱이 내집 장만 수요자 중 대부분은 아파트를 원하지만 한국의 주택 가운데 아파트의 비율은 아직 50%를 밑돌고 있다. 서울 등 수도권의 아파트 실수요자는 드러난 수치보다 훨씬 많은 셈이다. 정부는 그동안 집값이 오를 때마다 투기억제 정책을 내놓았으나 그 효과는 오래가지 못했다. 이는 잠재된 실수요와 시장원리를 가볍게 여긴 결과다.
신임 이헌재 경제부총리가 택지공급을 통해 주택 공급을 늘리겠다고 했으니 결과가 주목된다.
또 아파트 시장이 실수요자 중심으로 재편된다면 무주택 서민이 내집마련을 서둘 필요도 없지만 미룰 필요도 없는 것 같다.
이은우 경제부기자 libra@donga.com
구독
구독
구독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