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에서/권순활]‘멈춤의 지혜’를 모를 때

  • 입력 2006년 8월 22일 20시 07분


코멘트
화교 출신인 홍콩의 최대 재벌 리자청(李嘉誠)의 좌우명은 멈춤을 안다는 뜻의 ‘지지(知止)’다. 사무실의 눈에 띄는 곳에 액자도 걸어 두었다. 남부러울 것 없는 세계적 부자지만 ‘오버’하는 일이 없도록 스스로 경계하기 위해서란다. 하지만 동서고금의 역사를 보면 이런 태도가 말처럼 쉽지는 않은 모양이다.

중국 진(晉)나라 초기에 양준이라는 사람이 있었다. 진 무제의 장인으로 대단한 위세를 부린 권신(權臣)이었다. 자신에게 굴종하지 않거나 요즘말로 ‘코드’가 다르면 철저히 배척하고 핍박했다. 몇몇 주변 사람이 자제를 요청했지만 허사였다. 안하무인으로 일관하던 양준은 결국 반대파의 공격을 받아 처참한 죽음을 맞았다.

일본 고대사에도 비슷한 사례가 있다. 왕까지 마음대로 바꿀 정도로 막강하던 소가(蘇我) 가문의 몰락을 불러온 것은 오만이었다. 권력에 취해 무서운 것 없이 행세하던 소가 이루카는 나카노오에 왕자가 주도한 정변(政變)으로 살해되고 집안도 망했다.

유한한 권력을 영원한 것으로 착각하고 함부로 칼을 휘두르다가 신세를 망친 사람은 한국에도 적지 않다. 현대사만 봐도 김형욱 차지철 장세동 박철언 김현철 박지원 씨 등의 영욕(榮辱)이 눈에 들어온다. 5년 전 정권의 실정(失政)을 비판하는 몇몇 신문을 죽이는 일에 ‘행동대장’으로 나섰다가 추락해 지금도 남의 눈을 피해 사는 당시 이남기 공정거래위원장과 안정남 손영래 국세청장은 관료 출신으로는 드물게 이런 유형에 속한다.

보통 사람의 눈에 명백한 것도 권력 주변에 있으면 안 보인다고 한다. 요즘도 그리 달라진 것 같진 않다. 시정잡배 수준의 막가파식 발언과 행동으로 자주 물의를 빚은 청와대와 여당의 벼락출세파들, 여전히 민간 사회를 졸(卒)로 보고 군림하려는 일부 공무원을 보면 힘이 떨어질 때 뒷감당을 어떻게 하려고 저러나 싶다. 때로 자본의 힘을 과신(過信)해 수위를 넘어서는 행태를 보이다 역풍(逆風)을 맞는 대기업도 마찬가지다. 옛 그리스인들은 오만을 뜻하는 휴브리스(Hubris)를 파멸로 가는 지름길로 봤다.

‘적절한 멈춤’은 경제와도 무관하지 않다. 정부나 사회가 지나치게 선악의 이분법적 사고에 집착하고 목소리를 높일수록 실물경제는 그만큼 위축된다. 반면 요즘 우리 사회를 뜨겁게 달구는 ‘바다이야기’ 파문에서 알 수 있듯 보이지 않는 곳에서는 더 심한 분탕질이 벌어진다. 최근 여야 정치권에서 기업정책과 관련해 근본주의적 명분론의 목소리가 수그러들고 있는 그대로의 현실을 인정하는 기업 친화적 노선에 관심을 기울이는 모습은 진의가 어디에 있든 일단 평가받을 만하다.

‘멈춤의 학문’ 또는 ‘멈춤의 지혜’인 ‘지학(止學)’을 하나의 학문으로 집대성한 사람은 문중자(文中子)로 불리는 수나라 때의 유학자 왕통이었다. 당 태종 시대의 번영을 보좌한 위징 이정 방현령이 모두 그의 제자다. 지지(知止)의 정신을 몸에 익힌 그들 세 명은 지금도 중국사에서 명신(名臣)으로 손꼽힌다.

나아갈 때는 나아가야 하고 치열할 때는 치열해야 한다. 하지만 멈춰야 할 때 멈출 수 있는 것도 중요하다. 정치 행정 경제권력 등 어떤 형태로든 힘이 있는 개인이나 집단이라면 한번쯤 생각해 볼 일이다.

권순활 경제부장 shkwon@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