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어줄 가족마저 함께 떠난 5만여 亡者들 명복을 빌며

  • 입력 2008년 5월 22일 19시 59분


지난 12일 중국 쓰촨(四川) 성에 강진이 발생하자 서둘러 현장으로 내달렸던 기자는 22일 상주 지역인 베이징(北京)으로 돌아왔다.

그러나 현지에서 만난 망자(亡者)들의 처참한 모습과 유족들의 절규는 절대 잊을 수 없을 것 같다. 특히 폐허로 변한 두장옌(都江堰) 시의 중학교 운동장에서 오열하던 40대 여성의 모습은 지금도 눈에 선하다. 아들의 시신이 영구차에 실려 떠난 후에도 그는 "어제까지 살아 있었는데 오늘 주검이 되어 나왔다"며 오래도록 교정을 떠나지 못했다.

이번 지진으로 지도상에서 사라진 베이촨(北川)에서는 통곡소리마저 들리지 않았다. 울어줄 가족마저 모두 저 세상 사람이 됐기 때문이다.

참사 현장에는 망자를 대접할 만한 여유가 없었다. 구조 요원들은 전염병을 우려해 시신을 발굴하는 대로 곧바로 비닐 백에 싸서 내갔다. 손이 모자라 방치된 일부 시신은 한낮 기온이 28도까지 올라가는 현장의 고온다습한 기후에 곧바로 흉하게 부풀어 올랐다.

천만다행으로 살아난 사람들도 막막하기 그지없다. 해발 1000~3000m, 경사 40~70도의 험준한 산 사이의 계곡을 따라 주먹만한 논밭을 일구며 살았던 이재민들은 곧 고향을 등져야 한다. 임시 천막에 수용된 1200여만 명의 이재민들은 곧바로 닥칠 우기(雨期)를 걱정하고 있다.

하지만 대재앙이 삶의 의지를 꺾지는 못했다. 이재민들은 채 익지 않은 라면을 씹으면서도 앞으로의 생계를 궁리하고 있었다. 일부 주민들은 추가 산사태의 위험을 무릅쓰고 매몰된 밀과 유채를 수확했다. 학생들은 붕괴된 학교 잔해 옆쪽에 천막을 치고 교사들과 먹고 자며 글을 읽었다. 쑥대밭이 된 집을 떠올리면서도 "언젠가는 고향에 돌아가 집짓고 살아야지"라며 재기의 의지를 다지는 이재민도 만났다.

중국 전역에서 몰려든 6만8000여 명의 자원봉사자들도 놀라웠다. 특히 산시(山西) 성에서 1200km 떨어진 피해 지역인 홍바이(紅白) 진까지 나흘간 차를 얻어 타거나 걸어 왔다는 간호학과 학생 왕루이(王瑞·22·4년) 씨가 기억에 남는다. 친구 8명이 한 달 용돈을 털어 쥐어준 400위안(약 6만 원)으로 구급약을 사서 흙길을 걸어가던 그를 기자는 취재 차량에 태워 목적지까지 데려다 줬다.

중국인들은 이번 참사 앞에서 문화대혁명 이후 최대의 단결을 보여줬다. 21일 현재 모인 구호 성금만도 160억 위안(약 2조4000억 원)에 이른다. 교통사고를 당해 길거리에서 피 흘리며 누워있는 사람을 보아도 본체만체 지나간다던 중국인들의 예전 모습은 찾아볼 수 없었다.

기자는 현장에 도착해 시신을 본 뒤부터 청두 공항을 떠날 때까지 수염을 깎지 않았다. 산 자로서 망자들에 대한 예를 갖추고 싶었다. 4만여 명에 이르는 고인들의 명복을 빈다. 또 27만여 명의 부상자들이 빨리 건강을 되찾기를, 1200여만 이재민들이 하루 속히 일상으로 돌아오길 바란다. ―청두를 떠나며

청두=하종대특파원 orionha@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