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자의 생각돋보기]네덜란드 사람들은 역시 쿨했다

  • 동아일보
  • 입력 2014년 8월 9일 03시 00분


코멘트
발럼 헤다의 ‘정물’(1629년)
발럼 헤다의 ‘정물’(1629년)
반으로 잘린 빵과 나이프, 운두 높은 접시에 가득 담긴 체리와 유리잔, 메주만 한 크기의 치즈 두 덩이, 영롱하게 빛나는 포도, 연두색과 빨간색의 아직 덜 익은 사과들, 냅킨 위에 무심하게 던져져 있는 단단한 껍질의 빵 한 개, 은식기 위에 껍질째 놓여 즙이 마구 흘러내릴 듯 신선한 생굴, 방금 깎아 껍질이 돌돌 말려 있는 오렌지, 지금 막 커피를 따르고 난 듯 아직 열려 있는 금도금 주전자, 만지면 사각 하고 촉감이 전해 올 듯 하얗고 빳빳한 식탁보.

완벽한 붓질로 정성을 다해 일상적인 식탁을 섬세하게 재현해낸 17세기 네덜란드의 장르화(풍속화)들을 보면 인생은 아름답고 살 만하다는 긍정적인 기운이 절로 샘솟는다. 십자가에 못 박힌 예수나 성인들의 장엄한 종교화 혹은 왕이나 귀족들의 고귀한 초상화만이 회화라고 생각하던 서양미술사에서 이제까지 아무런 가치가 없는 것으로 여겨졌던 일상적인 대상들을 이처럼 예술작품의 주요 소재로 삼은 민족은 일찍이 없었다. 네덜란드인들은 왜 그랬을까?

그들의 신산한 역사에서 설명을 찾을 수 있다. 둑에 난 구멍을 밤새 주먹으로 막아 둑이 무너지는 것을 막았다는 동화 속 소년의 이야기가 있듯이 바다보다 땅이 낮은 네덜란드인들은 그들이 사는 땅 대부분을 스스로 개척했다. 신교도인 그들은 구교 국가인 스페인의 가혹한 탄압에 맞서 80년간 저항했고, 마침내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을 맺음으로써 스페인으로부터 완전히 정치적 종교적으로 독립하였다. 다른 나라 사람들이 당연하게 여겼던 것을 그들은 자신들의 피와 땀과 노력으로 쟁취했다.

그래서 단순한 사물들도 그들에게는 한없이 소중했다. 우유를 따르고, 뜨개질을 하고, 체스 게임을 하는 사소한 일상생활에서, 그리고 하다못해 매일 차리는 식탁에서 그들은 자기 노동의 결과와 작품을 발견하고 뿌듯한 행복감을 느꼈다. 소소하고 자질구레한 것들로 이루어진 현재적인 삶을 즐겼고, 일상적인 생활은 쾌활함과 충일(充溢)함으로 가득 차 있었다. 집단과 개인들의 행복한 화해를 보여주었던 이 시대의 네덜란드를 가리켜 헤겔은 “인생의 일요일이었다”고 표현했다. ‘진주 귀고리 소녀’를 그린 페르메이르나 위대한 빛의 화가 렘브란트와 동시대인인 그들의 생활은 근면하고, 품위 있고, 깔끔했으리라. 그러나 만족한 생활 속에서도 정물화 속에 해골을 그려 넣음으로써(vanitas) 인생은 유한하다는 것을 잊지 않은 국민이었다.

지난달(7월) 말레이시아 여객기 사고로 193명의 희생자를 낸 네덜란드의 애도 분위기가 너무나 차분하여 우리를 놀라게 한다. 유해가 귀환한 날 교회들은 조종을 울리고, 국민은 1분간 묵념했지만 아무도 검은 옷을 입거나 조기를 걸지 않았다.

로테르담 야외 음악축제 ‘크레이지 섹시 쿨’에는 1만여 명이 모였고, 여러 도시의 주말 축제도 예정대로 열렸다. 그 누구도 타인에게 슬픔을 강요하거나 남의 일상생활에 손가락질 하며 죄의식을 불어넣지 않았다. 그렇다고 그들의 마음속에 깊은 애도가 없다고 누가 말할 수 있겠는가? 풍요로운 식탁 위에 해골을 그려 넣어 인생의 덧없음을 표현했던 국민이 아니던가. 역시 네덜란드인들은 쿨하다.

박정자 상명대 명예교수
#네덜란드#긍정적#일상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