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대표가 생존 피해자 할머니들 직접 찾아 사죄문서 전해야”

  • 동아일보
  • 입력 2016년 1월 11일 03시 00분


[글로벌 파워라이터, 2016년을 말하다]<3> ‘일본의 양심’ 와다 하루키 도쿄대 명예교수

《 “주한 일본대사나 그에 상응하는 (일본 정부) 대표자가 생존 피해자 할머니 마흔여섯 분을 직접 찾아가 아베 신조 총리의 서명이 담긴 사죄 문서를 전달해야 합니다.” 일본의 대표적인 지성으로 꼽히는 와다 하루키 도쿄대 명예교수(78)는 7일 동아일보와의 e메일 인터뷰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한일 양국의 합의와 관련해 “일본 정부가 합의의 진의를 한국의 피해자들에게 전하기 위해 추가 행동을 보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일본 지식인들은 (일본) 정부에 어떤 추가 행동을 제안할지 고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

와다 하루키 도쿄대 명예교수는 70대 후반의 나이에도 왕성하게 집필 활동을 하고 있다. 그는 지난해 12월 ‘평화국가의 탄생’을 일본에서 출간했고 올 2월엔 ‘스탈린 비판’, 상반기에는 아시아여성기금의 실패를 다룬 책을 낼 예정이다. 그는 최근 인터뷰할 때 ‘평화국가의 탄생’을 펼치며 아키히토 일왕이 왕세자였던 1946년 1월 쓴 휘호 ‘평화국가 건설’의 자료 사진을 보여주기도 했다. 장승윤 기자 tomato99@donga.com
와다 하루키 도쿄대 명예교수는 70대 후반의 나이에도 왕성하게 집필 활동을 하고 있다. 그는 지난해 12월 ‘평화국가의 탄생’을 일본에서 출간했고 올 2월엔 ‘스탈린 비판’, 상반기에는 아시아여성기금의 실패를 다룬 책을 낼 예정이다. 그는 최근 인터뷰할 때 ‘평화국가의 탄생’을 펼치며 아키히토 일왕이 왕세자였던 1946년 1월 쓴 휘호 ‘평화국가 건설’의 자료 사진을 보여주기도 했다. 장승윤 기자 tomato99@donga.com
와다 교수는 러시아사·북한 현대사 연구자로 평화 운동을 벌여 왔으며, 2010년 ‘한일 강제병합 조약은 무효’라는 한일 지식인 공동선언과 지난해 일본의 우경화를 비판하는 세계 역사학자들의 공동성명을 이끌었다. 그는 “사죄 내용에 군의 위안소 설치와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이 명시되지 않았다”면서도 “아베 총리가 사죄와 반성의 마음을 표명했고, 일본 정부의 책임을 명확하게 인정한 것은 진일보했다고 본다”고 평가했다.

와다 교수는 한일 관계의 올바른 회복을 위해서는 일본 정부 인사의 ‘망언’ 사태 등이 재발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며 “향후 일본 정부 인사들은 이번의 사죄를 뒤집고 훼방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본보가 한일 합의 발표 전인 지난해 12월 22일 서울 중구의 한 호텔에서 그를 만났을 때 그는 ‘연내 타결’보다 5월 전후 개최설이 나온 한일 정상회담에 즈음해 아베 총리가 전향적 입장을 밝힐 것으로 내다보기도 했다.

와다 교수는 “위안부 문제에 별 관심이 없어 보이던 아베 총리가 미국의 해결 요구와 한중 정상회담에 압박감을 느껴 결국 문제 해결에 나섰던 것”이라며 “한국 정부는 교섭을 잘해 오다가 마지막에 쫓기듯 합의한 인상이 있다”고 말했다.

와다 교수는 ‘위로금’ 성격 여부로 다수의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이 수령을 거부했던 ‘아시아여성기금’에서 1995년부터 2007년까지 13년간 이사로 일했다. 그는 “(기금에 대한) 한국 측의 불만을 충분히 이해한다”며 “아시아여성기금은 ‘속죄의 시작’이었다는 의미가 있다”고 했다. 그는 기금의 실패 원인에 관해 올 상반기에 책을 낼 계획이다.

그는 한일 간 진정한 화해의 실현을 위해서는 위안부 문제뿐 아니라 넘어야 할 산이 많다고 조언했다. “아베 총리가 ‘위안부 문제 해결로 한일 간 역사 문제의 마침표를 찍자’는 식으로 말하지만 이는 잘못된 인식이다. 식민 지배에 대한 반성과 화해 실현을 위해선 1910년 한일 강제병합 조약이 체결 당시부터 무효였다는 점을 인정하고, 독도 영유권에 대해 한국 입장을 따르는 등의 조치가 있어야 한다.”

북한 현대사를 전공한 그는 김정은 북한 노동당 제1비서가 처한 상황에 대해선 “북한 정권이 안정적인 상태로 보이지만 외교가 안 풀려 큰 고민일 것”이라고 말했다. 김정은이 중국과 러시아로부터 격(格)에 맞는 대접을 받고, 대미·대일 관계에서 고립을 타파해야 하는데 쉽지 않다는 얘기다. 와다 교수는 “북한은 결국 중국식 자본주의를 받아들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과거 베트남전 반대, 한국 민주화 세력과의 연대 등에 힘쓴 노학자의 평생 화두는 동아시아 평화다. “민주주의가 발달한 한국과 일본은 중국과 북한이 좋은 방향으로 나아가도록 잘 이끌어야 한다. 한일 간 평화 안보 협력의 일환으로 한국 정부가 북한의 일본인 납치 문제 해결을 돕는 것도 고려해 볼 만하다. 지금은 유토피아 같은 소리로 들릴지 모르지만 한국 일본 중국은 동북아 지역 공동체를 향해 나아가야 한다.”

조종엽 jjj@donga.com·노지현 기자
#와다하루키#도쿄대#위안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