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중고부터 경쟁의 무한궤도 달리다… 지쳐 쓰러지는 20대

  • 동아일보
  • 입력 2017년 4월 3일 03시 00분


[2020 행복원정대/청년에게 희망을]<2> 탈진한 ‘번 아웃’ 청년들

외국어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명문대에 진학한 이모 씨(28·여)는 아직도 대학 문을 나서지 못했다. 그는 “친구 딸(엄친딸)은 말이야”로 시작하는 엄마들의 대화에 자주 등장하던 모범생이었다. 하지만 요즘은 고장 난 자동차처럼 도로에서 이탈해 비틀대고 있다.

“중학교 때부터 새벽 2시까지 공부해 외고에 들어갔어요. 뒤처지지 않으려고 더 독하게 공부했죠. 대학만 가면 모든 게 끝날 줄 알았는데, 공부하는 내용만 달라졌을 뿐 똑같은 경쟁이 또 시작됐어요.”

1등을 놓치지 않았던 그는 대학 입학 후 공부를 놓았다. 결국 휴학과 복학을 반복하며 아직도 대학생이다. 남미 여행 등으로 탈출구를 찾아봤지만, 돌아온 현실엔 취업이라는 ‘경쟁의 무한궤도’가 기다리고 있었다. 이 씨는 “적성에 맞는 일이 뭔지 모르겠다. 자포자기 심정으로 전과(轉科)를 할 것인지, 학교를 그만둘 것인지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육상 트랙’에 늘 올라 있는 것처럼 긴장하며 살아가는 건 이 씨만의 이야기는 아니다. 정도와 분야만 달랐지 대한민국을 살아가는 청년들 대부분이 공감하는 고민이다. 모두가 비슷한 목표를 향해 죽어라 뛰다 보니 어린 시절부터 누적된 경쟁의 피로를 이기지 못하고 일찍부터 ‘번 아웃(BURN OUT·탈진)’ 상태에 빠질 수밖에 없다.

○ 트랙 위를 달리다 탈진한 청춘들

우종민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의학박사)는 “대한민국의 20대는 ‘탈진 증후군’에 해당할 정도로 일상에서 활력을 잃은 상태”라고 진단했다. 학업이나 일에 쫓겨 성취로 인한 기쁨조차 느끼지 못해 전문가의 상담이 필요한 20대가 적지 않다는 것이다.

대학에서 관광학을 전공한 문유진 씨(26·여)는 전공을 살려 여행사에 취직했지만 석 달의 수습 기간이 끝나자 회의감이 밀려 왔다. 일이 적성에 맞지 않았고 흥미가 없는 일을 하다 보니 성과도 나지 않았다. 자신감은 바닥으로 떨어졌다. 그는 “1년째 되자 아무것도 할 수 없겠다는 생각이 들어 무작정 사표를 냈다”고 말했다.

치열한 취업 경쟁을 뚫고 직장에 들어가도 자신이 원하던 일이 아니라는 것을 깨닫고 자포자기 심정이 되는 청년이 적지 않다. 중고교 시절과 대학 시절 진로에 대한 탐색 없이 직업을 선택한 결과다. 심각한 취업난 속에서도 신입사원의 조기 퇴사가 늘어나는 기현상이 벌어지는 이유다.

최성구 국립정신건강센터 의료부장은 병원에 찾아온 이런 20대 환자들을 ‘경주마’에 비유했다. 좋은 대학, 사회적 지위가 있는 직업 등 기성세대가 정해 놓은 기준에 맞춰 앞만 보고 달리다가 제풀에 지쳐 쓰러지고 만다는 것이다. 최 부장은 “모두가 같은 답을 갖고 달리니 경쟁이 치열해지고, 원하는 것이 아닌데도 부모 등 주위의 기대를 충족시켜야 하니 스트레스가 극심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 음주 폭식 잠만이 해결책인 청춘들

위험한 수준에 처해 있지만 청년들은 번 아웃 대처에도 서툴렀다. 동아일보 2020행복원정대 취재팀이 사회여론조사회사 마크로밀 엠브레인과 10대 이상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20대의 26%는 ‘음주, 수면, 폭식 등 본능적 욕구 해결’로 번 아웃을 이겨낸다고 응답했다. ‘그냥 견딘다’는 답변도 19.5%를 차지했다. 최 부장은 “일부 청년은 폭식, 폭주, ‘인형 뽑기 게임’처럼 있는 돈을 다 써버리면서 재미를 찾는 ‘탕진잼’ 등 눈앞에 보이는 쾌락에 열중한다”며 “이는 일종의 우울증 증상에 해당한다”고 말했다. 20대의 38%가 번 아웃을 해결하기 위해 ‘여행, 휴학·휴직 등 장기간의 재충전’이 필요하다고 응답했지만 8%만이 행동으로 옮겼다. ‘뒤처질 수 있다’는 불안감에 휴식조차 맘껏 갖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일부 청년은 학업이나 일을 중도에 포기하고 자신의 적성을 확인해주고 진로를 찾아주는 ‘갭이어’ 프로그램 등에 참여하기도 한다. 한국갭이어 프로그램 참가자는 2013년 991명에서 2016년 4507명으로 3년 사이 약 4.5배로 늘었다. 퇴사를 고민하는 직장인들을 위해 퇴사 원인 분석과 진로 상담을 해주는 ‘퇴사학교’도 생겼다. 지난해 5월 설립된 퇴사학교에 지금까지 3500여 명의 수강생이 다녀갔다.

우 박사는 “번 아웃을 개인의 문제로만 봐선 안 된다”고 말한다. 청년들이 일찍부터 번 아웃 되지 않도록 하려면 교육 제도 개선과 경쟁에 대한 인식 변화 등이 필요하다. 안시준 한국갭이어 대표는 “한국에선 진학이나 취업 직전 학생들에게 선택을 강요한다. 선진국처럼 학생들이 학교 교육을 통해 진로탐색, 진로체험, 진로선택의 과정을 일찍부터 경험하게 해야 ‘조기 번 아웃’을 막을 수 있다”고 말했다.

국내에서는 고려대 이화여대 한동대 등에서 한 학기 동안 학생들이 인턴, 봉사활동, 창업 등의 체험을 하면 이를 최대 12학점까지 인정해주는 ‘자유학기제’를 운영하고 있다. 박남주 한동대 교무지원팀 과장은 “교수, 전문가, 기업, 정부 등이 협업을 통해 더욱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직무체험보다 취업을 위한 스펙으로 인식되고 있는 인턴 프로그램에 대한 사회적 인식도 바뀔 필요가 있다. 대학 2, 3학년생을 대상으로 한 조기 인턴 프로그램 등을 늘려야 한다는 것이다.

▶▶ 번아웃지수 테스트하기

김재희 jetti@donga.com·이건혁 기자
#번아웃 지수#20대#학업#취업#스트레스#정서#자신감#10대#활력#무한경쟁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