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약사회는 7일 이종윤(李鐘尹)보건복지부차관과 김재정(金在正)의권쟁취투쟁위원장이 6일 의약분업 시행사항과 관련해 합의한 내용을 ‘밀실 야합’으로 규정하고 이를 저지하기 위해 모든 방법을 동원하겠다고 밝혔다.
약사회는 정부와 의료계의 합의서 내용 중 상당 부분은 이미 합의됐던 의약분업 정책방향과 어긋난다며 7일 상임위원회를 열어 이에 대한 대처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약사회 사무실에는 환자를 볼모를 한 의료계의 강경투쟁에 밀려 타협안을 내놓은 복지부의 행태를 비난하며 약사회의 강경 대처를 주문하는 일선 약사들의 비난전화가 쇄도했다.
약사회 관계자는 “지난해 5월 의약사단체 및 시민단체가 모여 의약분업 실행안을 확정했음에도 불구하고 복지부가 의료계와 야합을 통해 합의내용을 뒤집었다”며 “정부와 의료계가 당초의 약속을 저버린 만큼 약계도 대책 마련을 위해 모든 방법을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정부와 의료계는 6일 회동을 통해 △약사 임의조제 감시단 운영 △수가계약 의약계대표 협의체 의사협회장 선임보장 △전문의약품을 늘리도록 의약품 분류 개선 △대체조제 최소화 등 22개 방안에 합의했다.
약사들은 이 가운데 의약품 분류 문제는 의사들이 개입할 사항이 아니며 동일성분 대체조제는 작년 의약분업안에서 이미 합의한 사항으로 이번 의료계와 복지부의 합의서는 의약분업안의 내용을 뒤집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이날부터 동네의원들은 모두 정상진료에 들어갔으나 전공의협의회소속 인턴과 레지던트 등 3000여명은 이날 오후 서울대병원에서 전국 규모의 집회를 열고 8일까지로 예정된 휴진을 계속했다.
<정성희기자> shchu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