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와 관련, 정부는 당정협의와 경제정책조정회의를 잇따라 열어 ‘IMT―2000 사업자 가운데 최소한 1개 이상을 동기식으로 한다’는 입장을 재확인함으로써 심사 이후 나타날 후유증에 대비하는 명분 축적에 나섰다.
▼관련기사▼ |
한국통신 컨소시엄은 이날 제출한 사업 계획서에서 한국통신이 43.5%, 한국통신 프리텔과 한국통신 엠닷콤이 각각 10%와 5%의 지분을 보유하고 나머지는 제휴사들이 보유한다고 밝혔다. LG는 LG전자를 대주주로 하고 기간통신분야 4개사, 통신 장비 및 부품 제조분야 113개사 등 767개 회사로 구성됐다. 사업권 획득사는 12월말 최종 확정된다.
한편 정부와 민주당은 이날 오전 국회 귀빈식당에서 안병엽(安炳燁)정보통신부장관과 민주당 정세균(丁世均)제2정조위원장,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1개사 이상의 동기식 선정 원칙’을 재확인했다.
당정은 또 심사 과정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시민단체 등 객관적인 제3자를 참여시키고 심사 결과도 가능한 범위내에서 최대한 공개하는 방안도 적극 강구하기로 했다. 정세균 제2정조위원장은 “사업자 후보업체들이 모두 비동기식을 선호한다고 하더라도 국가적 이익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김태한기자>freewill@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