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따라잡기]엠펙(MPEG)

  • 입력 2002년 9월 3일 18시 11분


MP3 제품 전시회에서 도우미가 관람객에서 MP3플레이어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 동아일보 자료사진
MP3 제품 전시회에서 도우미가 관람객에서 MP3플레이어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 동아일보 자료사진
최근 ‘소리바다’사이트 폐쇄 사태에서 보듯 ‘MP3 파일’을 둘러싼 논쟁이 시끄럽다.

MP3는 음악을 압축한 컴퓨터 파일이다. 컴퓨터에서 음악이나 영화, 방송 등을 그냥 보려면 파일 크기가 너무 커서 불편하다. 컴퓨터는 음악이나 동영상 등을 압축해서 이용하는데 이때 필요한 기술이 엠펙(MPEG) 기술이다. MP3도 엠펙 기술의 일종이다.

☞ 첨단기술따라잡기 연재보기

엠펙은 종류에 따라 현재 엠펙1, 엠펙2, 엠펙4, 엠펙7, 엠펙21 등이 있다.

엠펙1은 컴퓨터에서 동영상을 압축할 때 이용하는 기술이다. MP3 파일은 엠펙3에 속한 것이 아니라 엠펙1 중 오디오 부문에 속한 기술이다. 엠펙2는 고화질TV(HDTV)에서 동영상을 압축해 보는 기술이다. 엠펙4는 휴대폰이나 PDA 등 개인휴대기기, 양방향TV 등에서 동영상을 압축하는 기술이다.

엠펙7는 동영상이나 음성을 검색하는 기술이다. 엠펙7이 실현되면 컴퓨터에서 익숙한 가락만 흥얼거려도 원하는 음악을 찾을 수 있다. 엠펙21은 컴퓨터, TV, 휴대폰 등 정보기기끼리 동영상을 호환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이 기술로 저장한 영상과 소리는 모든 정보기기에서 볼 수 있다.

동영상을 어떻게 압축할까. 방송 뉴스는 1분당 약 30개의 화면을 찍는다. 아나운서가 말할 때 첫 화면과 두 번째 화면에서 아나운서의 얼굴 외에는 거의 바뀌는 것이 없다. 얼굴 에서도 눈과 입 정도만 많이 바뀐다. 엠펙 기술은 바뀐 부분만 기억한 뒤 나중에 변하지 않은 부분과 합쳐 재생한다.

한 화면도 수만 조각으로 잘라 변한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을 골라낸다. 음악도 마찬가지다.

엠펙 기술은 한국이 상당히 앞서 있다. 우리나라는 엠펙2부터 기술 개발에 참여했으며, 엠펙4는 세계에서 주도적으로 나서 우리가 기술 표준을 만들었다.

지금까지 한국은 전체적으로 엠펙의 표준 기술 중 20%를 개발해 특허를 받았으며 기술료 수입도 상당하다.

김상연동아사이언스기자 dream@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