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5 인터넷 대란]한국은 해킹바이러스 천국

  • 입력 2003년 1월 26일 18시 54분


전국 유·무선 인터넷 마비라는 사상 초유의 사태가 발생하기 하루 전날인 24일 정보통신부는 ‘긴급 해킹경보’를 발령했다.

경보내용은 국내 컴퓨터 시스템이 ‘분산서비스거부공격(DDoS)’이라는 해커 공격의 경유지로 이용되고 있다는 내용.

정통부에 따르면 이달 5일 이후 미국과 오스트리아의 언론기관 및 인터넷서비스업체로부터 “한국에 있는 컴퓨터로부터 DDoS 공격을 받았다”는 신고가 잇따라 접수돼 조사해보니 개인사용자와 중소기업 등 국내 115개 시스템이 DDoS 공격에 이용됐다는 것.

이처럼 한국이 바이러스나 해커공격의 ‘허브’로 자리잡은 것은 새로운 뉴스가 아니다. 국내 해킹 건수는 △1999년 572건 △2000년 1943건 △2001년 5333건 △2002년 1만5192건 등 매년 급증세를 보이고 있다.

바이러스 발생건수도 지난해 3만8677건으로 일본(1만9217건)의 갑절에 이른다.

이처럼 한국이 해커와 바이러스의 ‘집결지’가 되고 있는 것은 초고속인터넷 보급률(70%)이 세계 1위로 네트워크 속도가 빠르므로 한국 인터넷망을 이용해 사이버테러를 할 경우 고강도의 공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유럽 등은 아직까지도 초고속인터넷 보급률이 10% 미만이다.

여기에 국내 업계나 개인들의 보안의식이 낮아 국제적인 해킹이나 바이러스 활동에 최적의 요건을 제공하고 있는 것도 해커나 바이러스의 한국집결을 부추기는 요인으로 분석된다.

이 때문에 최근 바이러스 피해의 주범인 네트워크를 타고 들어가는 바이러스가 국내 시스템 곳곳에 제거되지 않은 채 잠복하고 있다는 것이다.

최근 국제적인 여론 추세는 해킹 경유지 국가에도 일정 부분 책임을 물려야 한다는 방향으로 쏠린다. 따라서 일반 PC 이용자들도 수시로 업데이트된 보안패치를 다운받는 등 정보보호 기본수칙을 실천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공종식기자 kong@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1
  • 화나요
    1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1
  • 화나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