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품안전청 국립독성연구원 김용규 박사팀은 치매 유발 유전자인 ‘프리세닐린2 변이 유전자’를 이식한 실험쥐를 3개월간 주 5회씩 생쥐용 러닝머신으로 운동시킨 결과 행동 장애가 뚜렷하게 좋아졌다고 1일 밝혔다.
운동 후 실험쥐는 치매를 일으키는 독성 단백질(Aβ-42) 축적량이 감소했고 총 콜레스테롤 수치도 낮아졌다. 또 인체에 유익한 고밀도 콜레스테롤의 수치가 증가한 반면 몸에 나쁜 저밀도 콜레스테롤의 수치는 감소했다.
김 박사는 운동 후 실험쥐의 총 콜레스테롤, 고밀도 및 저밀도 콜레스테롤 등의 수치가 정상에 가깝게 회복됐다고 설명했다.
일반적으로 치매환자는 팔과 다리 근육이 약화돼 활동이 위축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운동이 치매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치매환자를 대상으로 실험할 수 없어 이 같은 내용을 입증하기가 어려웠다.
김동원기자 daviskim@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