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e메일 제목에 Hi, Test, Hello, Status 등이 들어있다면 열어보지 말고 삭제할 것을 권고했다.
핀란드의 컴퓨터보안업체 F-시큐어측은 28일 “이 바이러스에 감염된 컴퓨터는 이날 현재 세계적으로 39만∼50만대에 이를 것”이라며 “특히 유럽에서는 전체 e메일 가운데 마이둠 바이러스에 감염된 비율이 이날 오전 21%에서 오후에는 33%로 현저하게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 회사는 마이둠 바이러스로 인한 피해가 지난해 전 세계 수백만대의 컴퓨터를 감염시켰던 소빅(Sobig)-F 바이러스보다 클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마이둠 바이러스가 숨겨진 e메일의 첨부파일 이름은 document, body, readme, text 등이며 확장자는 scr, pif, zip 등이다. 안철수연구소측은 “사용자는 제목과 첨부파일 이름 등에서 의심되는 게 있으면 메일을 열지 말고 삭제하는 게 안전하다”며 “감염됐을 경우 1월27일자 V3 백신으로 업데이트하면 치료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들 바이러스는 공개형 컴퓨터운영체계(OS)인 리눅스의 열혈 이용자들이 유닉스 판매사인 미국 SCO그룹을 공격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SCO사는 바이러스 제작자를 제보하는 사람에게 25만달러의 현상금을 내걸었다.
권기태기자 kkt@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