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증대를 기대했는데 비용만 나가고 효과는 크지 않습니다.”(충남 B마을 관계자)
2001년부터 행정자치부가 조성하고 있는 정보화마을에 대한 상반된 평가다.
이 사업이 도농(都農)간 정보격차를 줄이는 데 기여하고 있지만 실제 당초 기대한 대로 농어촌 소득증대로까지는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는 게 대체적인 지적이다.
▽정보화 마을이란=행자부는 660억원의 예산을 들여 전국 농어촌에 정보화마을을 조성하고 있다. 지금까지 103곳이 조성됐으며 88곳이 10월까지 완공을 목표로 조성 중이다.
정보화마을로 지정되면 가구별로 PC와 초고속인터넷망이 공급되고 마을 단위의 홈페이지가 개설된다. 홈페이지 안에 사이버동호회, 전자상거래 등 정보콘텐츠가 구축돼 지역공동체와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돕는다. 행자부는 8월 경 내년에 조성할 정보화마을을 추가로 모집할 계획이다.
▽‘제2의 새마을운동’=행자부 관계자는 정보화마을 조성사업을 70년대 새마을운동에 비유했다.
낙후된 농어촌에 개발 붐을 일으키고 소득증대 운동으로 확산된 새마을운동과 같이 이 사업이 지역간 정보격차를 해소하고 주민들이 인터넷을 통해 지역특산물과 관광자원을 홍보해 소득창출 효과도 거둘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사업 이후 정보화마을의 인터넷 가입률은 조성 전 8.8%에서 64.5%로 크게 늘어났다. 이는 전국 평균(51.3%)보다 높은 수치. 이들 지역의 PC 보급률도 조성 전보다 3배 이상 높은 72%를 나타내고 있다.
지난해 6월 정보화마을로 조성된 전남 광양시 백학동 마을의 조기옥씨(49)는 “사랑방이 사라지면서 시골 인심도 박해졌는데 사이버동호회가 활성화되면서 홈페이지 게시판이 사랑방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고 말했다.
▽‘성과는 기대 이하’=그러나 올해 1월부터 지금까지 정보화마을 전체의 전자상거래 실적은 4억8500여만원에 불과하다.
특히 이 중 64%(3억1100만원)가 10개 마을의 전자상거래 실적으로 대부분의 마을이 정보화마을로 조성된 이후 별다른 소득증대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정보화마을 1곳을 조성하는 데 3억5000만원이 들어가는 점을 감안하면 비용 대비 효과가 매우 적은 셈이다. 더구나 인터넷 사용료 등 운영비용은 개인이 부담하게 돼 있어 정보화마을의 참여 가구가 오히려 줄어드는 곳도 있다.
충북 청주시 평동 전통떡마을의 정보화운영위원장 이진희씨(69)는 “전자상거래를 위해서는 보관창고가 필요하고 부수 경비도 많이 들어간다”며 “아직 전자상거래를 통한 소득증대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행자부 관계자는 “다음달부터 TV와 지하철 등을 통해 정보화마을 통합 홈페이지(www.invil.org)를 적극 홍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재명기자 egija@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