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국정원과 경찰청 등에 따르면 이 센터가 해킹사건과 관련해 ‘주의예보’ 조치를 취한 것은 주요 기관 해킹 사실을 처음으로 인지한 지 한 달여가 지난 7월 6일이었다. 이 센터는 6월 초 이미 경찰청 등의 수사를 통해 주요 국가기관 6곳과 민간 컴퓨터 70여대가 해킹당한 사실을 알고도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이 센터는 국가기관과 민간 컴퓨터 수십대가 추가로 해킹당한 사실이 확인된 7월 13일에서야 ‘주의예보’를 ‘경고예보’로 격상시켰다.
정보 당국의 한 관계자는 “해킹 피해가 심각했지만 제때 대처를 하지 못해 무려 한 달이 넘도록 주요 기관과 민간 컴퓨터의 추가 해킹을 방치한 것”이라고 밝혔다.
국가사이버안전센터는 지난해 ‘1·25 인터넷 대란 사태’ 이후 국가정보통신망 보호를 위해 설립됐다. 이 센터는 사이버 위협의 위험수준에 따라 평시, 주의, 경고, 위험 등 4단계의 예보 및 경보를 발령하도록 돼 있다.
이에 대해 국정원 관계자는 “6월 19일 이후 세 차례 발표를 통해 해킹의 위험성과 피해규모를 밝혔다”며 “7월 6일 국가안전보장회의(NSC) 및 관계기관과 협의해 3단계인 ‘주의예보’ 조치를 내리는 적절한 조치를 취했다”고 해명했다.
한편 해외 주둔 5곳의 미군사령부 홈페이지가 해킹됐다는 본보 보도와 관련해 주한미군 공보담당자는 15일 “미 육군 컴퓨터수사대(CCIU) 수사관들이 한국에 와 미 육군 범죄수사사령부(CID) 요원들과 함께 경찰청 사람들을 만나 협조를 요청했다”고 확인했다.
그러나 이 담당자는 “해킹 피해 내용에 대해 수사가 진행 중이기 때문에 피해 여부 등을 확인할 수는 없다”고 밝혔다.
또 외교통상부 신봉길(申鳳吉) 대변인은 이날 “최영진(崔英鎭) 차관이 14일 리빈(李濱) 주한 중국대사에게 한국 내 주요 기관이 해킹당한 사건에 대해 양국간 수사공조에 적극 협조해줄 것을 요청했고 리 대사는 본국 정부에 보고해 진상이 규명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고 밝혔다.
김승련기자 srkim@donga.com
정원수기자 needjung@donga.com
전지원기자 podragon@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