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샘’(선생님) ‘방가’(반가워요) ‘어솨요’(어서와요) 같은 말은 통신어체에 어두운 노장층이라도 문맥 속에서 새겨보면 뜻을 알아챌 수 있다. 엄지손가락으로 휴대전화 문자판을 빠르게 두드려 한정된 글자 수 안에서 문자메시지를 날리다 보면 축약을 시도하는 것이려니 하고 이해할 수도 있다. 그림말(이모티콘·emoticon) 역시 노장층엔 생소하지만 귀여운 구석이 있다. 자녀한테 ‘휴대전화 안 사주시면 ㅠ.ㅠ(운다는 뜻)’ 같은 e메일을 받고나면 웃음이 나올 것이다.
▷그러나 외계어(外界語)에 이르면 황당해진다. 어제 본보 A1면에 나온 ‘읍ㅎ℉를_ㅁ|てつ효_∩∇∩★’라는 외계어가 ‘오빠 믿어요’라는 뜻이라고 하니 기막히는 노릇이다. 통신어체가 단순히 쓰기의 편함과 빠름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탄생했다면 외계어는 자기들끼리만 통하는 암호라고 할 만하다. 한글 한자 영어 일본어 키릴문자와 각종 부호를 섞어 외계인의 문자와 흡사한 데서 붙은 말이다.
▷청소년의 유희이자 게임 같은 것이라고 외계어를 관대하게 보는 시각도 있다. 한때 유행하다 얼마 안 가 시들해질 거라는 얘기다. 그러나 의견과 정보를 명료하게 전달하는 글쓰기 교육의 중요성을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언어는 한 시대 소통의 수단이자 문화의 핵심이다. 언어 파괴는 소통을 단절하고 문화를 황폐화할 수 있다. 외계어는 그 위험신호가 아니겠는가.
황호택 논설위원 hthwang@donga.com
구독
구독
구독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