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실 X파일]아니, 돛새치 속도가 110km?

  • 입력 2006년 3월 10일 03시 11분


시속 110km로 헤엄치는 돛새치를 구하려고 말레이시아 해변을 뒤진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최해천 교수. 사진 제공 최해천 교수
시속 110km로 헤엄치는 돛새치를 구하려고 말레이시아 해변을 뒤진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최해천 교수. 사진 제공 최해천 교수
상어 비늘은 언뜻 매끄럽게 보이지만 눈에는 잘 보이지 않는 미세한 돌기가 있다. 이 돌기는 상어가 물 속에서 받는 저항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어느 날 잠자기 전 침대에 누워 다섯 살배기 딸에게 책을 읽어 주다가 우연히 ‘물속에서 가장 빠른 동물은 돛새치’라는 글을 보고 깜짝 놀랐다. 인터넷을 뒤져보니 돛새치는 무려 시속 110km로 헤엄친다고 한다. 상어는 겨우(?) 시속 60km밖에 되지 않는데 말이다.

이때부터 궁금증에 물밀 듯이 솟구쳐 왔다. ‘돛새치의 피부는 어떻게 생겼을까?’ ‘상어와 뭐가 다를까?’

그러나 인터넷을 아무리 뒤져도 돛새치의 피부 모양은 좀처럼 찾기 어려웠다. 태평양에 사는 것을 확인하고 한 참치 통조림 회사에 연락해 돛새치 한 마리를 잡아 달라고 부탁했다.

그로부터 석 달 뒤 부산항에서 꽁꽁 언 새끼 돛새치를 구경할 수 있었다. 트럭에 싣고 실험실에 가져온 뒤 피부구조를 찬찬히 살펴보면서 실험했다.

“이 피부가 정말 물의 저항을 줄일 수 있긴 한 거야?”

하지만 저항은 줄지 않았다. 그러다 불현듯 생각 하나가 떠올랐다.

“혹시 냉동될 때 사람처럼 소름 끼친 피부를 우리가 보는 것 아냐?”

살아 있는 돛새치를 보고 싶었다.

돛새치 전문가를 찾아 한국게임피쉬협회와 접촉했다. 말레이시아 앞바다에 가면 살아 있는 돛새치를 잡을 수 있다는 이야기를 듣고, 말레이시아 원정길에 따라나섰다. 뱃멀미를 겪으며 3일간 사투 끝에 겨우 돛새치 한 마리를 잡을 수 있었다.

배 위에 파라솔을 펼치고, 현미경으로 사진 찍고, 컴퓨터에 저장하고 한참을 호들갑을 떤 뒤 뭍으로 돌아왔을 때 우리를 반긴 것은 현지 어민들의 휘둥그레진 눈이었다. 연구를 한답시고 돛새치를 잡으러 우르르 몰려온 외지인들이 신기했을 것이다.

짐작한 대로 돛새치 피부에는 특이한 돌기가 있었다. 돛새치 피부를 모방해 물속 저항을 줄이는 실험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저항아 제발 줄어라”라고 기도하면서. 길이 2.1m의 돛새치는 멋있게 박제되어 이제는 우리 실험실에 진열되어 있다.

딸 덕분에 우리 실험실의 관심사는 생체모방공학으로 옮겨가고 있다. 돛새치, 날치, 나비, 잠자리, 돌고래 등 우리가 따라 배울 동물은 많다. 지금도 매일 밤 딸의 책 속에서 동물을 쫓는 모험은 계속된다. “자녀들에게 과학책을 읽어 줍시다. 뜻밖에 좋은 일이 생길 겁니다!”

최해천 서울대 공대 교수·기계항공공학부 choi@snu.ac.kr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