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10년 사이 20, 30대 남성 피부암 환자가 5배로 느는 등 자외선 관련 질환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피부과학회는 1995∼2005년 자외선과 관련이 있는 피부암 검버섯 기미 등 3개 질환으로 전국 20개 대학병원을 찾은 1만9339명을 분석한 결과 자외선이 주 원인인 피부암은 1995년 777명에서 2005년에 1712명으로, 검버섯은 2388명에서 4621명으로 각각 두 배가량 늘었다고 17일 밝혔다.
피부암은 백인종과 오존층이 많이 파괴된 호주 등에서 주로 발생해 선진국형 암으로 알려져 있다.
▽피부암 검버섯 젊은 환자 급증=조사 결과 20, 30대 피부암 환자의 증가가 눈에 띄었다. 이들 연령층의 환자는 27명에서 103명으로 3.8배로 늘었고 특히 남성은 9명에서 46명으로 5배로 증가했다. 검버섯은 390명에서 541명으로 1.4배로 늘었다.
학회 측은 “여성에 비해 남성은 스포츠 등 야외 활동이 많은 데다 자외선 차단 제품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또 피부암의 증가는 오존층 파괴와 같은 환경적 측면도 있는 것으로 본다는 것.
그동안 검버섯은 피부의 회복능력이 떨어지는 60대 이후 노인성 질환으로 알려졌고, 피부암 역시 자외선과 발암물질에 오래 노출될 경우 발생하기 때문에 젊은 층의 경우 비교적 안전하다고 여겨져 왔다.
그러나 이번 조사에서는 피부암 검버섯 기미 환자 중 60대가 44%로 가장 많았으나 30대가 12%, 20대도 6%나 돼 젊은 층도 안전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피부암 예방을 위해선 자외선 차단이 가장 중요하다.
한림대 의대 피부과 김광중(金光中) 교수는 “일생 동안 쬔 자외선의 총량 중 80%가 18세 이전에 노출된 것이라는 보고가 있다”며 “피부가 연약하고 방어력이 떨어지는 소아 청소년기에 자외선에 노출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양대 의대 피부과 노영석(魯英錫) 교수는 “지속적으로 자외선에 노출되는 것보다 한 번이라도 강한 자외선에 화상을 입는 것이 성인기 피부암 발병에 더 영향을 미친다”고 조언했다.
이나연 기자 larosa@donga.com
■자외선 대처 7계명
[1] 외출할 때는 SPF15 이상, 레저활동을 할 땐 SPF30의 자외선 차단제를 꼭 바른다.
[2] 흐리고 비 오는 날에도 방심은 금물. 40∼70%의 자외선에 노출된다.
[3] 햇빛이 강한 오후 2∼4시에는 외출을 삼간다.
[4] 실내에서도 자외선A는 차단되지 않는다.
[5] 자외선 차단제는 2, 3시간에 한 번씩 덧발라 주는 게 좋다.
[6] 몸에 딱 붙는 옷보다 헐렁한 옷을 입는다. 흰 티셔츠는 SPF5∼9의 효과가 있고 청바지는 SPF1000 의 효과가 있다.
[7] 자외선B가 차단됨을 알리는 SPF뿐 아니라 자외선A의 차단됨을 알리는 PA가 있는 차단제를 바른다.
자료: 대한피부과학회
구독
구독
구독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