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단백질합성효소네트워크연구단 김성훈(사진) 교수팀은 11일 췌장 호르몬 세포인 알파 세포에서 분비하는 ‘AIMP1’ 단백질이 혈당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고 밝혔다.
그동안 AIMP1은 면역과 혈관 생성, 세포 재생에 관여할 뿐 체내 혈당량 조절은 주로 ‘인슐린’과 ‘글루카곤’이란 호르몬이 담당한다고 알려져 왔다.
김 교수팀은 AIMP1을 분비하지 못하도록 유전자를 조작한 쥐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돌연변이 쥐가 정상 쥐에 비해 혈당이 더 빨리 떨어지고 글루카곤을 잘 생성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또 연구팀은 정상 쥐의 경우 AIMP1이 췌장과 간에서 혈당 조절에 관여하는 글루카곤과 글루코오스의 생성을 유도한다는 사실도 함께 밝혀냈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인슐린과 글루카곤, AIMP1이 모두 혈당 유지에 관여한다는 사실이 처음 밝혀졌다”라며 “최근 AIMP1을 합성하는 데도 성공해 국내외 바이오 회사들과 신약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의 과학학술지인 미국과학원회보(PNAS) 12일자에 실렸다.
박근태 동아사이언스 기자 kunta@donga.com
구독
구독 789
구독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