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부는 인터넷상에서 주민번호 유출을 막기 위한 '주민번호 대체수단'의 명칭을 '아이핀(i-PIN·Internet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으로 통일하고 본격 시행에 들어간다고 2일 밝혔다.
주민번호 대체수단은 주민번호 대신 본인 확인에 이용되는 정보를 말한다.
인터넷 사용자는 정부가 인정한 5개 인증기관 중 한 곳에서 온라인으로 본인 여부를 확인받은 후 대체수단(ID와 비밀번호)을 발급받을 수 있다. 본인 확인은 공인인증서와 가상주민번호 등 5가지 인증방법 중 하나를 이용하게 된다.
한번 발급받은 ID와 비밀번호는 국내 모든 사이트의 가입에 사용할 수 있으며, 개인이 원할 경우 언제라도 바꿀 수 있다.
대체수단을 사용하면 주민번호와 이름 등 개인정보 유출로 인한 명의도용 피해를 원천적으로 막을 수 있다. 인터넷 사용자가 본인 확인을 위해 인증기관에 제공한 정보 중 포털 등 인터넷 사이트에 전달되는 것은 본인확인 여부와 대략적인 연령 정보뿐이다.
서병조 정통부 정보보호기획단장은 "처음 등록에 걸리는 시간은 다소 길어지겠지만 나중에는 개별 웹 사이트에 가입할 때마다 일일이 주민번호를 기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미성년자와 재외국민도 주민번호 없이 손쉽게 인터넷 사이트 회원가입을 할 수 있게 됐다"고 덧붙였다.
한편 현재 대체수단으로 가입할 수 있는 곳이 공공기관 사이트 17개에 불과해 대체수단의 이용 활성화에는 다소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정통부는 민간사업자들이 빠른 시일 안에 주민번호 대체수단을 도입하도록 지속적으로 협조를 요청할 방침이다.
문권모기자 mikemoon@donga.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