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실 X파일]토끼 간은 없어도 심해는 명약의 보고

  • 입력 2007년 6월 22일 02시 58분


코멘트
“바다 속에 용궁이 정말 있던가요?”

2004년 6월 프랑스 심해유인잠수정 노틸호를 타고 국내 최초로 수심 5000m가 넘는 태평양 바닥에 내려가 탐사하고 온 뒤 학생들에게 자주 듣는 질문이다.

“용궁은 없더라”고 대답하면 바다에 대한 환상이 깨질까 봐 “용궁엔 흰 수염이 허리까지 내려오는 용왕이, 옆집엔 그리스신화에 나오는 바다의 신 포세이돈이 살더라”며 웃곤 한다. 게다가 인어공주까지 봤다고 너스레를 떤다.

태평양 바닥이 눈앞에 펼쳐지던 바로 그 순간 이 세상 어느 누구도 부럽지 않았다. 그 바닥에서 몇 백만 년 전에 죽은 고래의 턱뼈를 찾고, 몸속 내장이 다 들여다보이는 심해 해삼이 기어가는 것을 보고, 눈 없는 물고기가 유유히 헤엄치는 광경을 목격하면서 심해의 매력에 흠뻑 빠졌다.

심해 탐사는 시간의 상대성을 실감하게 해줬다. 10시간 남짓한 탐사 과정이 불과 1시간처럼 느껴졌다. 잠수정 내부가 비좁아 내내 요가 자세로 앉아 있어야 했고, 심지어 다리에 쥐도 났지만 신비로운 심해를 직접 만나는 기쁨에 비하면 그런 불편쯤은 아무것도 아니었다.

별주부전에서는 자라가 용왕의 병을 고치기 위해 토끼 간을 구하러 육지로 간다. 하지만 사실 알고 보면 신비한 영약은 바다 속에 더 많다. 인류는 오래전부터 육상 동식물은 약재로 자주 써 왔지만 해양생물은 많이 이용하지 않았다. 얻기 힘들기 때문이다.

해양과학기술이 발달한 지금 다양한 해양생물에서 암이나 에이즈를 치료할 수 있는 물질을 추출해서 약품으로 개발하려는 연구가 활발하다. 영겁의 세월 동안 심해 바닥에 쌓인 퇴적물에는 미생물이 살고 있다. 이 미생물에는 냉장고 속처럼 낮은 온도에서도 지방을 잘 분해하는 효소가 있어, 찬물에서도 세척력이 뛰어난 세제를 개발하는 데 이용할 수 있다.

바다는 없어서는 안 될 소중한 곳이지만, 바다에 대한 우리 생각은 아직 부정적인 측면이 많다. “물가는 위험하니 가지 마라”는 말을 들으며 자란 우리 뇌리 속에 바다는 여전히 위험한 곳으로 각인돼 있다. 지금도 바다에 가면 조심스럽다.

하지만 그래도 가는 이유는 그곳에 신기한 해양생물이 많기 때문이다. 생전 처음 보는 생물이 바다 속 어디선가 눈앞에 불쑥 나타나리라는 기대감이 나를 바다로 유인한다.

많은 사람이 “바다는 우리의 미래이자 희망”이라고 실감할 날을 고대하며, 오늘도 바다 품에 안긴다. 바다 속 용궁이 바로 내 실험실이다.

김웅서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자원연구본부장 wskim@kordi.re.kr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