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 쉰… ‘내 삶의 가을’을 즐기려면 …

  • 입력 2007년 11월 5일 03시 01분


코멘트
얼굴은 화끈화끈 기억은 가물가물 ‘또 다른 나’를 만나는 폐경기

《여성이 50대가 되면 중대한 신체 변화를 겪는다. 여성호르몬 분비가 멎으면서 매달 되풀이되던 월경에서 벗어난다. 홀가분하기도 하지만 폐경 증상이 따라온다. 갑자기 얼굴이 확 달아오르며 덥다는 느낌이 들기도 하고 잠을 자도 예전처럼 깊이 잠들지 못한다. 기초대사량이 줄면서 배가 나오고, 뼈엉성증(골다공증)으로 낙상을 주의해야 할 때다. 정신적으로는 기억력이 퇴화되고 이런저런 상실감에 기분이 우울해진다. 그러나 인생의 3분의 1은 50세 이후부터다. 11월 ‘폐경의 달’을 맞아 여성이 50세 이후 건강한 삶을 가꿀 수 있는 비결을 알아본다.》

○ 자다가도 벌떡벌떡 일어나요

폐경 전후 여성은 호르몬 불균형으로 인해 ‘중심체온’(몸속체온)이 올라간다.

몸이 갑자기 확 달아오르며 깊은 잠을 자기 힘들고 자다가도 벌떡벌떡 일어나는 증상이 생긴다.

얼굴이 붉어지는 ‘안면홍조’도 중심체온 상승 때문에 일어난다. 안면홍조는 폐경 전후 여성 10명 중 7, 8명이 경험할 정도로 흔한 증상이다.

일부 여성은 심하게 코를 골기도 한다. “나이가 들면서 아내가 코를 너무 심하게 골아 옆에서 잘 수가 없다”고 호소하는 남편들도 있다.

코를 고는 것은 코와 입이 만나는 부위 근육이 탄력을 잃으면서 늘어지기 때문이다. 수면 중 들이마신 공기가 목구멍 안의 좁아진 점막을 지나가면서 늘어진 점막을 떨게 만든다.

코를 골지 않으려면 옆으로 누워 잠을 자도록 한다. 안정제나 수면제를 복용한다면 줄여야 한다. 코골이뿐 아니라 몇 초 동안 숨을 멈추는 수면무호흡증까지 따라온다면 전문 클리닉에서 검사를 받도록 한다.

○ 기초대사량 줄어 지방 늘어

나이가 들면 기초대사량이 줄어든다. 기초대사량은 호흡, 체온 유지, 심장 박동 등 기초적 신진대사에 쓰이는 에너지를 말한다. 기초대사량이 줄면 같은 양의 음식을 먹어도 남는 에너지가 많아진다. 남는 에너지는 지방으로 변해 몸에 쌓인다.

여기에 관절염이라도 생기면 몸을 움직이는 것을 더 피하면서 뱃살이 점점 더 두꺼워지는 악순환이 일어난다.

복부비만은 심장질환을 일으키는 가장 큰 요인이다. 늘어 가는 뱃살은 중성지방과 나쁜 콜레스테롤 수치를 증가시킨다. 고혈압, 고혈당도 몰고 온다.

폐경도 체중 증가에 한몫한다. 여성호르몬은 내장에 기름이 끼는 것을 예방한다. 폐경이 되면 더는 이런 역할을 기대할 수 없다.

키가 155cm인 여성의 경우 몸무게가 56∼59kg이면 과체중, 60∼71kg이면 비만으로 분류된다. 키가 160cm이면 59∼63kg이 과체중, 64∼75kg이 비만이다. 일반적으로 허리둘레가 85cm(약 34인치) 이상이면 복부비만에 속한다.

살을 빼는 데는 칼로리를 줄이고 운동량을 늘리는 것 외에 왕도가 없다. 저녁식사는 오후 7시 이전에 하고 과식하지 말도록 한다. 야채, 해조류, 두부, 저지방 유제품, 과일을 많이 먹으면 좋다.

○ 자나 깨나 뼈 조심

뼈엉성증도 폐경기 이후 여성에게서 흔히 볼 수 있는 질환이다.

75세 이상의 여성 중 절반 이상은 뼈엉성증으로 한두 군데 골절을 경험한다는 통계도 있다. 허리 손목 엉덩이 등의 골절이 가장 빈번하게 나타난다. 나이가 들면 허리가 휘어지는데 이것도 뼈가 위축돼 나타나는 증상이다. 뼈엉성증은 이미 증상이 나타나면 고치기 힘들다. 젊었을 적부터 예방 차원에서 칼슘 성분이 많은 우유, 어패류 식품을 많이 섭취하도록 한다.

폐경기 증상을 완화시키는 데는 여성호르몬을 보충해 주는 호르몬 대체요법이 효과적이다.

여성호르몬제는 먹는 경구제가 가장 흔하고 피부에 붙이는 패치, 피부에 바르는 겔, 자궁이나 질에 삽입하는 좌제 등이 있다.

호르몬 대체요법에 대해 2002년 미국 국립보건원은 “심장 발작, 뇌중풍(뇌졸중), 유방암, 혈전 발생의 위험을 높인다”고 발표해 국내외에 커다란 혼란을 불러일으킨 바 있다. 이후 반박 연구 결과가 속속 발표됨에 따라 대한폐경학회는 새로운 여성호르몬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조만간 발표할 계획이다.

전문가들은 호르몬요법 치료 개시 시기와 기간, 방법 등은 개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담당 의사와 상의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도움말=김정구 서울대병원 산부인과학교실 교수, 박동선 숨수면센터 원장)

김현지 기자 nuk@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