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훈교수란 뛰어난 업적과 전문성을 인정받은 것으로 서남표 KAIST 총장이 그에게 직접 제안한 것이다.
“서울 홍릉의 KAIST 분교에 사무실을 마련하고 과학기술 정책을 본격적으로 연구해 보려고 합니다.”
이달 초 퇴임한 뒤 잠시 휴식을 위해 일본 후쿠오카를 방문 중인 김 전 부총리는 6일 “서 총장이 과학기술정책에 관심이 많아 추후 대학원 설립을 고려하고 있는 걸로 알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임기 중 세계 각국에서 활동하는 국내외 석학들을 직접 만나 의견을 수렴한 울트라프로그램을 만든 일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라며 “한 나라의 과학기술 정책 책임자로서 물론 당연히 해야 할 일이지만 네이처나 셀, 사이언스에 논문을 낸 해외 학자들에게 감사의 편지를 쓴 일도 기억에 생생하다”고 말했다.
앞으로의 계획에 대해서는 “과학기술 발전은 다방면의 창의성에서 기인한다고 생각한다”며 “곧 과학과 문화, 예술인으로 이뤄진 사회단체를 만들 계획”이라고 했다.
김 전 부총리는 “국민 정서상 교육 현안이 우선해 과학기술이 관심 밖일 수는 있지만 그 때문에 과학기술 행정이 소홀해져서는 안 된다”며 “한국이 중국과 일본 사이에 샌드위치가 된 현 상황에서 빈틈없는 정책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한국의 과학기술 경쟁력이 지난해 세계 7위에 오른 것은 연구개발(R&D) 예산을 10조 원으로 끌어올리고 중복 투자를 막는 조정기능을 전담하는 체계가 있었기 때문”이라며 과기부가 없어진 데 대해 아쉬움을 표시했다.
연세대 화학공학과 출신의 김 전 부총리는 1968년부터 연세대 교수로 재직하면서 연세대 총장을 지내다 노무현 정부의 대통령비서실장으로 발탁됐다가 2006년 오명 전 부총리의 뒤를 이어 2대 부총리 겸 과기부 장관을 맡았다.
박근태 동아사이언스 기자 kunta@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