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균관대 안종현 교수와 미국 일리노이주립대 김대형 연구원 등 국제 연구팀은 탄력이 뛰어나고 신축성 있는 실리콘 전자회로를 개발했다고 과학저널 ‘사이언스’ 27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에는 안 교수와 김 연구원을 비롯해 삼성종합기술원 최원묵 김태호 박사, 일리노이주립대 김훈식 연구원 등 한국인 과학자들이 대거 참여했다.
연구팀은 기존 실리콘 전자회로에서 하나의 결정으로 이뤄진 전자소자를 뽑아냈다. 두께가 수백 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에 불과한 얇은 막 형태의 소자였다. 이 소자를 유연한 고무 기판에 붙여 종이보다 100배나 얇은 전자회로를 만든 것이다.
기존 실리콘 전자회로는 딱딱하고 부서지기 쉬워 다양한 형태로 만들 수 없었다. 과학자들은 이런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유기물로 구부릴 수 있는 전자회로를 개발해 왔지만 그 대신 전자회로의 성능이 크게 떨어져 쓸 수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