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인 피트니스]‘만족 지연 능력’을 아십니까

  • 입력 2008년 10월 6일 02시 56분


베이징 올림픽에서 장미란 선수가 역기를 드는 모습은 감동적이었다. 역도 종목에서 4번 만에 올림픽 금메달을 확정하고 세계 신기록에 도전하는 장 선수의 모습에서 듬직함과 자랑스러움을 느꼈다.

필자는 경기를 관람하면서 ‘장 선수는 왜 저 힘든 역기를 들기 위해 꾸준한 노력을 했을까’ 하는 의구심이 들었다. ‘무거운 역기를 드는 것이 스키나 골프처럼 재미있을까’ 하는 생각도 머리를 스쳤다.

마라톤 선수는 경기 도중 ‘차라리 자동차 사고를 당하는 것이 낫겠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고통스럽다고 한다. 등산을 하는 사람은 ‘이 힘든 고생을 왜 사서 하나’ 하는 생각이 들 때가 있다고 한다.

그들은 운동을 하는 과정에서 고통을 겪지만 결승점 테이프를 끊을 때, 산 정상에 올랐을 때 이루 말할 수 없는 쾌감을 얻으며 그동안의 고통을 한순간에 잊는다.

정신의학적으로 보면 성취감을 얻었을 때 뇌의 앞쪽 부분에서 도파민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이 분비되며, 이에 중독되는 효과가 있다. 운동의 목적을 달성했을 때 느끼는 짜릿한 쾌감에 고통스러운 훈련 과정을 이겨내는 것이다.

나중의 큰 만족을 위해서 현재의 작은 만족을 포기하는 것을 ‘만족 지연 능력’이라고 한다. 만족 지연 능력에서 도파민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만족 지연 능력은 인생에서 성공하는 데 매우 중요한 요소다.

대입 시험을 앞둔 고3 학생은 당장 놀고 싶은 유혹을 자제하고 공부에 매진한다. 신입사원은 일찍 퇴근하고 싶은 유혹을 자제하고 밤늦게까지 일한다.

부모는 어떻게 자녀의 만족 지연 능력을 키워줘야 할까.

부모는 자녀가 꾸준한 노력을 통해 작은 성취를 했을 때 많은 칭찬과 상을 줘서 성취감을 느끼게 해야 한다.

막연히 공부를 열심히 하라고 얘기하기보다 자녀가 달성할 수 있는 실현 가능한 목표를 주고 이를 달성했을 때 상을 주는 것이다. 또 태권도 테니스 등 꾸준한 노력을 통해서 실력이 서서히 느는 운동을 배우게 해서 한 단계씩 실력이 느는 자신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방법도 있다.

“1등을 했으니까 훌륭하다”는 식으로 결과를 칭찬하기보다는 “끈기 있게 여러 가지 생각을 하며 공부하더니 잘했구나” 하는 식으로 과정을 칭찬해 주는 것이 동기 부여에 도움이 된다.

배지수 정신과 전문의·FC학습연구소장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