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가족부는 2007년 10만 명당 24.8명의 자살률을 2013년까지 20명 미만으로 낮추는 내용의 자살예방종합대책을 확정해 23일 국무회의에 보고했다.
대책의 주요 내용은 △자살자에 대한 ‘심리학적 부검’ 실시 △초중고 정신건강선별 검사 확대 및 상담 서비스 제공 △저소득층, 노인, 정신질환자 등 취약계층 자살 예방 △자살방지 인프라 구축 등이다.
이번 대책은 복지부가 13개 부처와 함께 공동으로 마련한 것으로 민관 합동 자문기구인 자살예방대책추진위원회도 참여했다. 민간까지 참여하는 범정부 차원의 자살예방 종합대책이 나오기는 이번이 처음으로 2013년까지 총 5632억 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청소년과 노인 자살 예방에도 중점을 뒀다. 청소년 자살을 막기 위해 현재 전국 245개 초중고교에서 실시 중인 정신건강 선별 검사를 2009년 450곳, 2010년 모든 초중고교로 확대하기로 했다. 지난해 국내 자살 사망자는 1만2174명으로 암, 뇌혈관질환, 심장질환에 이어 사망원인 4위를 차지했다. 인구 10만 명당 자살사망률은 24.8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평균 자살사망률(11.2명)의 두 배다.
김윤종 기자 zozo@donga.com
구독
구독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