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전소에서 화석연료를 태우거나 제조업체에서 물건을 만들 때 나오는 이산화탄소(CO₂)를 90% 이상 줄이는 기술이 2020년까지 상용화된다. 지식경제부는 13일 영국 런던에서 열린 제3차 이산화탄소처리 리더십포럼(CSLF) 각료회의에서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기술(CCS)의 개발과 실험을 거쳐 2020년까지 상용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2013년까지 1000억 원을 들여 기술을 개발하고 한국전력공사와 5개 화력발전사들은 2020년까지 1조3000억 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CCS는 배출된 이산화탄소의 90% 이상을 포집해 압축한 뒤 이를 유전, 가스전 등 심층에 저장하는 기술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