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은 2007년 6월 첫 아이폰을 선보인 이래 올해 3월까지 세계 88개국에서 1억800만 대의 아이폰을 판매해 왔다. 지난해 4월 등장한 아이패드도 1900만 대가 누적 판매됐다. 세계 각국 정부가 이번 애플의 위치정보 수집 논란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이유다.
23일(현지 시간) 미국 일간지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미국의 연방통신위원회(FCC)가 이 문제에 대해 21일 조사에 착수한 이래 독일과 이탈리아, 프랑스 정부도 애플에 대해 공식 해명을 요구하거나 공식 질의서를 발송할 것을 검토하고 있다. 이들 국가 당국은 위치정보 저장이 자국의 사생활보호 관련 법률에 위배되는지도 살펴보기 시작했다.
독일 정부는 애플이 아이폰 내부에 어떤 위치정보를 수집하고 있으며 왜 수집하는지에 대한 답변을 요구했다. 독일 정부는 “이런 식의 정보 수집은 사용자의 동의 없이 모은 것으로 볼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의견을 밝혔다. 이탈리아 정부도 비슷한 해명을 요구했다. 프랑스 정부는 최초로 아이폰이 위치정보를 수집한다는 사실을 밝힌 미국 프로그래머들의 보고서를 면밀히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보도됐다. 대만의 타이베이타임스도 타이베이 시가 애플의 대만 지사에 공식 해명을 요청했다고 보도했다. 하지만 애플은 24일 현재 아무런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이런 가운데 애플이 어떤 이유로 위치정보를 저장했으며, 누가 이런 정보를 이용해 이득을 얻는지에 대해서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해외 언론은 이를 통해 위치정보를 이용한 광고가 가능하기 때문에 마케팅 정보가 필요한 기업들이 이득을 볼 것으로 전망한다.
특정 장소를 지나갈 때 가까운 가게를 소개하는 ‘실시간 위치기반 광고’는 지금도 가능하지만 애플이 모으는 것과 같은 장시간에 걸친 이동궤적 정보를 이용하면 개인에게 ‘맞춤형’으로 제공되는 광고도 가능해진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평소 서울 강남구 역삼동과 경기 성남시 분당 지역에서 생활하는 사람을 위한 승용차 광고나 아파트 광고 등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