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의약]신약개발로 고령화 대비… 사회적으로 관심 가져야

  • Array
  • 입력 2013년 3월 27일 03시 00분


최근 한국당뇨병학회는 2050년에는 당뇨병 환자가 현재의 2배로 늘 것으로 전망된다며 ‘당뇨 대란’을 경고하고 나섰다. 치매 환자의 증가 추이는 보다 심각하다. 국내 치매환자는 2025년에 현재의 2배, 2050년에는 4배 수준으로 늘어날 것이란 전망이다. 국내에 이 같은 만성질환이 증가하는 이유는 고령화에 따른 자연스러운 현상이란 분석이다.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노령화가 진행되는 국가에 속한다. 2005년 한국의 65세 이상 노령층은 전체의 9%에 불과했지만 2050년 무렵에는 40%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된다. 노년층 인구 증가는 곧바로 당뇨병이나 치매 등의 질병 증가로 이어진다.

이 같은 만성질환은 환자 본인의 고통에서 끝나지 않는다. 환자를 보살펴야 하는 가족들의 노동력 저하는 물론이고 정신적 스트레스까지 불러온다. 고령화 사회가 가져올 사회 전반에 막대한 부담에 진지하게 고민해야 하는 이유다.

고령화에 따른 사회적 부담을 어떻게 줄일 수 있을까. 무엇보다 ‘신약 개발’을 최선으로 꼽는 전문가들이 많다. 1980, 90년대 평균 수명이 증가한 원인을 분석한 결과 ‘혁신적 신약 개발’의 효과가 1위를 차지했다는 분석도 나왔다.

실제 신약 개발이 보전할 수 있는 사회적 비용은 적지 않다. 세계적으로 치매 환자들을 돌보는 데 들어간 비용은 6000억 달러(약 650조 원)에 이른다. 치매환자가 줄어들수록 이 같은 간병 비용은 자연스럽게 줄 수 있다. 신약의 개발로 환자의 고통과 더불어 사회적 비용까지 낮출 수 있다는 얘기다.

대신 신약 개발에는 막대한 개발비용과 함께 불확실성이 따른다. 보통 10년 이상의 개발기간과 8억 달러(약 9000억 원) 이상의 재원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시제품을 개발하고도 상품화 하지 못하는 사례도 부지기수다. 고령사회로 가는 급행열차를 늦출 수 없다면 근본적 탈출구를 모색하는 편이 자연스럽다. 제약사들의 신약 개발이 한 가지 방법이라면 이를 가능하게 만드는 사회적 관심과 적절한 투자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함태진 한국릴리 부사장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