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선천적인 기형아 출산이 급증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2005~2011년 진료인원 분석 결과다. 결혼하는 시기가 늦춰짐에 따라 산모의 초산 연령이 높아지는 게 주된 원인으로 지목된다.
선천기형 진단을 받은 신생아는 2005년 1만3786명에서 2011년 3만2601명으로 늘었다. 7년 새 2.4배 증가한 것이다. 성별로는 남아는 2005년 7557명에서 2011년 1만8451명으로 연평균 16% 증가했고, 여아는 2005년 6229명에서 2011년 1만4150명으로 연평균 14.7% 늘었다.
신생아(0세)의 선천성 기형 유형은 2011년 기준으로 혀ㆍ식도ㆍ소장 등 소화계통이 가장 많았고(30.8%), 이어 △심장 등 순환계통(23.5%) △근골격계통(16.6%) △눈ㆍ귀ㆍ얼굴ㆍ목(9.7%) 순으로 나타났다. 2005년에는 △순환계통(34%) △근골격계통(19.6%) △눈ㆍ귀ㆍ얼굴ㆍ목(14.2%) △소화계통(12.1%) 순이었다. 최근 6년 사이 소화계통 기형아 비율이 가장 많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신생아의 선천성 기형 질환이 증가한 이유는 여성의 사회진출과 관련 있다. 40대 산모가 같은 기간 두 배가량 늘어나는 등 산모의 출산 연령이 높아졌고, 이에 따라 산모의 인슐린 저항성이 높아져 임신성 당뇨나 임신성 고혈압 빈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실제 2011년 30대 분만 여성은 28만3460명으로 전체 산모(42만1199명)의 67.3%에 달했고 40대 산모도 1만149명으로 조사됐다. 특히 2005년과 비교해 20대 산모 수는 22.4% 줄었지만 30대는 36.3%, 40대는 104.2% 늘었다.
임신 중 당뇨는 선천기형 출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11년 분만 여성 100명 당 임신 중 당뇨병 환자는 45~49세(42.4명), 40~44세(21.4명), 35~39세(16명) 등 순으로 고령일수록 많았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