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세포는 필요에 따라 자기 몸의 세포를 파괴하기도 하고,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 외부에서 침입한 세포를 무찔러 우리 몸을 지킨다. 하지만 면역세포가 이 둘을 제대로 구분하지 못하거나 지나치게 활동하면 몸속 기관이 망가져 류머티스 관절염, 췌장염 등 자가면역질환이 생긴다. 이 때문에 우리 몸에는 자가면역반응을 억제하고 면역이 잘 유지되도록 돕는 ‘안전장치’가 있다. 이 안전장치가 면역세포의 일종인 ‘조절 T세포(Regulatory T cell)’다. 조절 T세포는 체내 면역반응을 촉진하는 대신 오히려 억제해 면역력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양시영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박사(사진)는 미국 하버드대 의대와 공동으로 조절 T세포 중에서도 자가면역질환에 특히 효과를 나타내는 세포를 새로 발견해 ‘사이언스 익스프레스’ 20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성체보다는 신생아에서 유래한 조절 T세포가 더욱 효과적이었다.
연구진은 자가면역에 이상이 생겨 췌장 등 내분비 기관과 눈, 폐 등 여러 장기가 한꺼번에 망가진 쥐에 갓 태어난 쥐의 조절 T세포를 주입했다. 그 결과 장기 손상 정도가 급격히 줄어드는 현상을 확인했다. 반면 성체 쥐에서 얻은 조절 T세포를 주입했을 때에는 증상이 호전되지 않았다. 동일한 조절 T세포라고 해도 성체보다는 신생아의 조절 T세포가 면역 조절 기능이 더 뛰어나다는 사실이 처음 밝혀진 것이다. 양 박사는 “자가면역질환을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해서는 성체에서 유래한 조절 T세포보다는 신생아에서 유래한 조절 T세포를 활성화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