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세계 나노제품 시장이 1조 달러(1070조 원) 규모를 넘어섰으며 연 40%씩 성장해 2020년엔 3조 달러 규모에 도달할 전망이란 판단에 따른 것이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산업통상자원부, 환경부와 공동으로 ‘나노기술 산업화 전략’을 30일 발표하고 올해 총 1772억 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이석준 미래부 1차관은 판교 나노기술 중견기업 크루셜텍에서 열린 이날 브리핑에서 “나노기술을 산업화하는 데 애로가 되는 사항들을 적극 발굴해 건강한 생태계가 정착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 말했다.
이날 발표된 전략에 따르면 정부는 7대 산업화 기술을 확보하고 나노기술기업 육성, 4대 인프라 확충을 통해 2020년 나노산업 2대 강국, 세계 나노시장 점유율 20% 달성을 목표로 한다.
7대 산업화 기술에는 사물이나 생체 등 원하는 표면 위에 부착이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3차원 나노전자소자, 미량의 유해 성분을 분자수준에서 검출할 수 있는 식품안전 나노센서 등이 포함됐다.
전문가 매칭 지원을 통해 우수기술 사업화를 촉진하고, 시제품 제작, 수요처 발굴 등을 도와 2020년까지 100여개 나노기술기업을 육성해 7000억원 이상 매출을 창출할 계획이다.
또 나노기술 개발에 필요한 미세공정 인프라, 제품개발 기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개방형 가상실험 공간 등 4대 인프라를 지원할 예정이다.
이 차관은 “궁극적으로 나노기술이 우리 산업과 경제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