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 시선]도시 하수도는 제2의 댐

  • 동아일보
  • 입력 2015년 6월 29일 03시 00분


코멘트
김혜태 대구보건대 보건환경과 교수
김혜태 대구보건대 보건환경과 교수
지구에는 약 14억4000만 km³의 물이 있지만 실제로 쉽게 마실 수 있는 물은 전체의 0.0086%에 불과하다. 그나마 많은 양이 오염돼 있거나 편중돼 있어 전체 인구의 20%인 14억 명 이상이 물 부족으로 고통받고 있다. 한국도 최근 124년 주기의 대가뭄에 접어들었다는 등 물 대란의 전조가 뚜렷하다.

올해만 해도 격심한 가뭄을 겪고 있고 이번 상황을 어떻게든 견딜 수 있다 해도 이런 물 부족 현상이 되풀이되고 심화될 수 있다는 게 근본적 걱정거리다. 국제인구행동연구소(PAI)에 따르면 한국은 모로코 케냐 르완다 소말리아 등과 함께 1인당 연간 물 사용량이 1000∼1700m³인 물 부족 국가이다. 이는 1996년 정부가 발표한 수자원장기종합계획에서도 이미 나타나 있었다. 즉, 2001년에는 용수 예비율이 2%로 떨어지고 수요가 매년 30억 m³씩 증가해 공급이 수요를 못 따라갈 것이라는 예상이었다. 인구밀도가 높고 장마철에 호우가 집중되며 지형이 가팔라 수자원 이용 효율성까지 낮은 한국은 이 스트레스를 쉽게 벗어나기 어렵게 돼 있다.

이런 상황을 타파할 유망한 방도로 중수도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중수도는 1991년 수도법을 통해 국내에도 소개됐다. 상수도와 하수도 중간에 있다는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으로 한 번 사용한 물을 처리해 다시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아무리 가물어도 도시 하수도에는 물이 흐른다. 그러니까 하수도는 도시 안의 댐인 셈이다.

중수도를 잘 활용한다면 상수의 소비와 하수의 배출을 동시에 억제하고 새로운 댐 건설에 들어가는 자원을 줄일 수 있는 등 이점이 많다. 정부에서도 2020년까지 중수도 시설 목표량을 약 540만 m³로 정했다. 좀 더 실효성을 가지려면 일정 규모 이상의 시설에만 채택되고 있는 개별순환방식을 지구순환방식 또는 광역순환방식으로 과감히 전환하고 첨단기술을 도입해 처리수의 수질을 획기적으로 보장할 필요가 있다.

이런 의미에서 말레이시아로부터 용수를 수입해 사용하는 싱가포르의 중수도 NEWater는 물론이고 하루 10만 m³ 규모로 운영 중인 경북 포항의 하수 처리수 재이용시설 등은 중수도의 미래에 많은 것을 시사해 준다고 하겠다. 지금은 하늘만 쳐다보며 기우제에 매달릴 시대는 아니지 않은가.

김혜태 대구보건대 보건환경과 교수
#도시 하수도#댐#가뭄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